중국이 장악한 ESS 시장…美→中 '폭탄 관세' 반사 수혜 가능성도
전기이륜차·UAM·전기선박 등 생태계 확장 잰걸음
전기차 ‘한파’를 맞닥뜨린 배터리 업계가 주목하는 수요처 중 하나는 에너지저장장치(ESS)용 배터리다. ESS는 남는 전력을 저장했다가 필요할 때 공급하는 장치다. 태양광, 풍력 등 날씨나 계절에 따라 생산량이 달라지는 신재생에너지의 단점을 보완해 준다.
전 세계적으로 탄소중립 움직임이 빨라지면서 신재생에너지와 ESS에 대한 수요가 늘고 있다. 시장조사기관 블룸버그NEF에 따르면 글로벌 ESS 시장 규모는 2023년 97기가와트시(GWh)에서 2030년 442GWh까지 연평균 21%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정책적 지원도 탄탄하다. 미국은 캘리포니아·오레건 등 5개 주에서 ESS 설치를 의무화하고, 인플레이션감축법(IRA)에 따른 투자세액공제를 지원한다. 중국·일본·독일·호주·인도 등에서도 ESS 설치에 대한 보조금을 지급하고 있다.
배터리 기업들도 적극적으로 ESS 시장을 공략하고 있다. LG에너지솔루션은 최근 한화큐셀과 4.8GWh 규모의 ESS 배터리 공급 계약을 맺었다. 계약 금액은 공개되지 않았지만, 물량을 고려하면 약 1조4000억 원 수준으로 추산된다. 지난달부터는 미국 애리조나주에 ESS용 리튬인산철(LFP) 배터리 전용 공장을 착공했다. 2026년 가동 예정이다. 지난해 말부터는 중국 난징 공장 라인 일부를 ESS용 LFP 배터리 라인으로 전환해 내년 하반기 양산에 돌입한다.
삼성SDI는 올해 초 중대형전지사업부에 ‘ESS 비즈니스팀’을 신설하고 사업 확대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하이니켈 니켈·코발트·알루미늄(NCA) 양극재 등이 적용된 ESS ‘삼성 배터리 박스(SBB)’, 무정전전원장치(UPS) 등을 출시한 데 이어 2026년 양산을 목표로 ESS LFP 배터리 양산을 준비하고 있다. SK온은 2026년 LFP ESS 시장 진출을 검토하고 있으며, 미국에 ESS LFP 전용 공장 설립도 고려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마이크로 모빌리티·도심항공교통(UAM)·전기선박 등도 돌파구로 주목받고 있다.
‘하늘을 나는 자동차’로 불리는 UAM 시장은 글로벌 투자은행(IB) 모건스탠리가 2040년까지 1조 달러(약 1331조 원)까지 커질 것으로 전망하는 등 잠재력이 큰 모빌리티 산업이다. UAM 배터리 시장에 적극적인 곳은 LG에너지솔루션이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와 UAM에 실릴 특수목적용 배터리를 공동 개발 중이다.
배터리 생태계는 방산으로도 확장 중이다. 최근 한화오션이 정부로부터 수주한 3000톤(t)급 잠수함(장보고-Ⅲ Batch-Ⅱ 3번함)에는 국내 잠수함 최초로 리튬이온 배터리가 탑재될 예정이다. 배터리는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개발한 제품이 실린다.
로봇 시장도 눈여겨볼 만하다. 지난해 12월 로봇의 실외 이동이 법적으로 허용되면서 자율주행 로봇의 실용화가 가능해졌다. 로봇에 배터리는 필수다. 전기 이륜차 시장도 커지고 있다. 삼성SDI는 베트남 전기오토바이 업체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맺고, 차세대 46파이(지름 46mm) 배터리를 활용해 마이크로 모빌리티 시장을 공략하겠다는 계획을 내놨다. LG에너지솔루션의 사내벤처 ‘쿠루’는 전기 오토바이가 배터리팩을 교체해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서비스로 시장 확장을 노리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