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비사업 '개점휴업'에 쇠퇴기 전망까지…뒤숭숭한 건설업계

입력 2024-05-14 10:33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노량진1구역 투시도 (사진제공=동작구)
▲노량진1구역 투시도 (사진제공=동작구)

건설업계가 주택사업에서 고전하면서 중소형사는 물론 대형사도 침체 국면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공사비 폭등에 주택시장의 극심한 불황으로 돌파구를 찾기 어렵기 때문이다. 대형사는 유급휴가 실시 등 허리띠를 졸라매고, 중견·중소건설사들은 폐업 불안감에 휩싸여 있다.

14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국내 상위 10개 건설사 도시정비사업 수주총액은 3조9994억 원으로, 전년 동기(4조5242억 원)보다 12%(5248억 원) 줄었다. 2년 전(6조7786억 원)에 비해서는 약 40%가량 감소한 수치다.

대형 건설사들은 개점휴업 상태다. 올해 1분기 내 주택정비사업 마수걸이 수주에 성공한 곳은 포스코이앤씨, 현대건설, SK에코플랜트 등 3곳뿐이다. 대우건설도 4월 들어서야 수주에 성공했다. 나머지 6개 건설사는 아직까지 단 한 건도 수주하지 못했다.

부동산 경기가 좋을 때 여러 건설사들이 수주전을 벌이던 것과 달리 최근에는 서울 한복판, 강남권 정비사업도 경쟁입찰은 찾아보기 어렵게 됐다. 참여하겠다는 시공사가 없어서 입찰이 유찰되는 사례도 비일비재하다.

서울 강남구 도곡개포한신아파트 조합은 최근 시공사 선정을 위한 입찰을 진행했으나, 아무도 사업제안서를 내지 않아 유찰됐다. 서울 용산구 산호아파트 재건축 조합도 같은 상황이다. 노량진1구역 재개발조합은 같은 이유로 유찰을 겪다가 재입찰에서 포스코이앤씨가 단독 입찰했다. 서울 송파구 가락삼익맨숀 재건축 조합도 1·2차 입찰에서 시공사를 찾지 못하다가, 수의계약 우선협상대상자 선정 입찰에 현대건설만 참여했다.

일각에서는 건설사들이 공사비를 더 받기 위해 '조합 길들이기'를 하고 있다고 보기도 한다. 하지만 가장 고통스러운 것은 건설사다. 건설사의 주력 분야인 주택사업 실적이 없다는 것은 반대로 주택사업이 수익성을 내기 어렵다는 것을 보여준다.

한 건설사 관계자는 "주택사업을 하더라도 수익성이 확실한 곳만 수주에 나서고 있다"며 "민간 주택사업은 한번 들어가면 공사비를 올리기도 어려워 신중히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코로나19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으로 원자잿값과 인건비 등이 폭등하면서 공사에 필요한 비용이 크게 증가했기 때문이다. 한국건설기술원 건설공사비지수는 2020년 말 121.80에서 2023년 말 153.26으로 3년 만에 약 25% 급등했다.

대형사부터 지출비용을 줄이고 있는 것은 업계 전체에 감도는 위기감이 어느 정도인지를 보여준다. 10대 건설사 중 하나인 대우건설은 본사 직원의 80%인 약 1200명에게 최장 2개월간 유급휴직을 시행하기로 했다. 급여는 기본급의 50%를 지급하는 방안이 거론되고 있다. 직원 복지 차원이라고는 하지만, 대우건설은 2018년 실적이 저조했던 플랜트사업본부 소속 직원을 대상으로도 유급휴직을 실시한 바 있다.

대형건설사의 상황이 이렇다 보니 중견·중소건설사들은 더욱 엄두를 못 내고 있다. 이들은 올해 주택사업 수주 계획을 최소화하거나 아예 중단한 상태다.

건설업이 쇠퇴기 진입했다는 전망까지 나왔다. 대한건설정책연구원은 최근 '건설산업 반등 가능한 경기 하락인가? 쇠퇴기로의 진입인가?' 보고서를 발표했다. 연구원은 "종합건설업은 등록업체 수보다 폐업신고가 많아 업체 수 감소가 예상된다"며 "건설산업의 생애주기가 성숙기를 지나 쇠퇴기로 진입하는 전조 현상으로 해석할 수 있다"고 진단했다.

시공능력순위 100위권 건설사들의 법정관리 신청 사례가 발생하고 있는 가운데 문을 닫는 건설사도 역대 최대 수준이다. 연구원 발표에 따르면 지난해 건설업 폐업 신고는 총 3562건으로 최근 10년간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1분기 폐업신고는 998건으로 전년 동기 대비 6.3% 증가했다. 1분기 종합건설업 신규 등록 건수는 143건으로 전년 동기(380건) 대비 62.4% 감소했다. 건설산업지식정보시스템에 따르면 10일 기준 1~5월 누적 부도 건설업체는 총 12곳이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어떤 주담대 상품 금리가 가장 낮을까? ‘금융상품 한눈에’로 손쉽게 확인하자 [경제한줌]
  • 2025 수능 시험장 입실 전 체크리스트 [그래픽 스토리]
  • "최강야구 그 노래가 애니 OST?"…'어메이징 디지털 서커스'를 아시나요? [이슈크래커]
  • 삼성전자, 4년 5개월 만 최저가...‘5만 전자’ 위태
  • 고려아연, 유상증자 자진 철회…"신뢰 회복 위한 최선의 방안"
  • 재건축 추진만 28년째… 은마는 언제 달릴 수 있나
  • 법원, 이재명 ‘공직선거법 1심’ 선고 생중계 불허…“관련 법익 종합적 고려”
  • ‘음주 뺑소니’ 김호중 1심 징역 2년 6개월…“죄질 불량·무책임”
  • 오늘의 상승종목

  • 11.13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4,782,000
    • -0.93%
    • 이더리움
    • 4,515,000
    • -6.48%
    • 비트코인 캐시
    • 591,500
    • -9.49%
    • 리플
    • 942
    • -0.95%
    • 솔라나
    • 295,000
    • -5.33%
    • 에이다
    • 761
    • -14.3%
    • 이오스
    • 773
    • -7.09%
    • 트론
    • 252
    • +4.13%
    • 스텔라루멘
    • 178
    • -1.11%
    • 비트코인에스브이
    • 77,900
    • -11.88%
    • 체인링크
    • 19,100
    • -10.79%
    • 샌드박스
    • 399
    • -10.5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