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심 이외 지역 주택수요 하락
헝가리ㆍ사이프러스 빈집도 12%
일본 전국에 걸쳐 빈집이 900만 채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럽 역시 늘어나는 빈집이 사회 문제로 떠올랐다. 헝가리의 빈집 비율은 전체의 12% 수준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9일 OECD 통계와 로이터통신ㆍ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 보도 등에 따르면 일본 전역에 버려진 집이 무려 900만 채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지어 ‘아키야’로 불리는 빈집은 이제껏 도심 이외 지역에 집중돼 있다. 그러나 닛케이는 “도쿄와 교토 같은 주요 도시에서도 이전보다 많은 아키야가 목격되고 있다”라며 “이미 인구 노령화와 매년 출생하는 자녀 수의 감소 탓에 도심에서도 빈집이 늘어가고 있다”고 전했다.
일본 총무성이 집계한 수치를 보면 일본 전체 주택 가운데 지난해 기준 14%가 빈집이다. 여기에는 임대를 위한 일부 대기수요, 소유자의 해외거주 등 일시적으로 비워진 집도 포함돼 있다.
다만 이를 고려해도 빈집은 사회 문제로 불거졌다. 빈집이 늘어날수록 도심의 슬럼(Slum)화가 진행될 가능성이 크다. UN 정의에 따르면 슬럼은 삶의 질이 낮으며 오염된 쇠퇴 도시 혹은 지역이다.
이런 빈집 문제는 합계 출산율 하락과 맞물려 있다. 출산율이 급락하면서 물려줄 상속인이 없거나 자녀의 도시 이주로 인해 빈집이 늘어가는 셈이다.
막대한 철거비용도 빈집 증가의 배경이다. 일본의 조세 정책에 따르면 재개발을 위해 주택을 철거하는 것보다 주택을 유지하는 게 더 저렴하다.
유럽 역시 빈집이 사회 문제로 떠올랐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이탈리아와 헝가리 등에서 1유로 주택이 등장했다. 그만큼 농촌을 떠나는 주택 소유주들이 빈집을 팔기 어렵다는 뜻이기도 하다.
2020년 OECD 통계에 따르면 헝가리와 사이프러스 주택의 약 12%가 빈집이다. 도심 이외 지역의 경우 주택 구입 수요가 떨어져 빈집으로 남아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14%가 빈집인 일본과 유사한 규모다.
뒤이어 슬로베니아와 핀란드(11%) 역시 빈집이 많기로 이름나 있다. 뒤이어 아일랜드와 프랑스가 각각 9%와 8%에 달하는 빈집 때문에 고민 중이다.
이탈리아 당국 관계자는 이 매체를 통해 “자산(주택)을 어떤 형태로 매각했는지 기존 소유자의 후손은 누구인지를 파악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