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백화점 업계의 ‘빈익빈 부익부’ 현상이 심화하고 있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닫혔던 하늘길이 열리고 외국인 관광객들이 대거 유입되면서 수도권의 주요 백화점은 연일 매출 신기록을 갈아치우는 반면 지방 소재 백화점은 매출 부진으로 업종을 바꾸거나 폐점하는 사례가 속출하고 있다.
6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롯데백화점은 경남 창원 마산합포구에 있는 롯데백화점 마산점 영업을 6월 말 종료하기로 결정했다. 전국 32개 롯데백화점 점포 중 매출 최하위권이던 마산점을 매장 임차 종료 시점에 맞춰 결국 문을 닫기로 한 것이다. 롯데백화점 관계자는 “마산점을 이용하던 고객들게 동일 권역 내 영업 중인 창원점을 이용하도록 안내하고 있다”고 전했다.
주요 대도시 백화점도 매출 부진 상황에서 예외는 아니다.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전포동에 있는 NC백화점 서면점은 이달 영업종료를 앞두고 있다. 1995년 개점해 30년 가까이 부산광역시 동구 범일동에서 명맥을 유지해온 현대백화점 부산점도 사실상 영업 종료에 들어간 상태다. 다만 현대백화점 부산점을 철수 대신 대대적 리뉴얼을 거친 뒤, 9월 새로운 형태의 복합쇼핑몰인 ‘커넥트현대 부산’으로 재개장할 계획이다.
반면 서울 도심 한복판에 자리한 주요 백화점은 명품 매장과 각종 팝업스토어 인기 등에 힘입어 연일 매출 신기록을 경신하고 있다. 신세계백화점 강남점은 이미 지난해 12월 말 백화점 단일점포 최초로 연매출 3조 원 돌파 신기록을 썼다. 롯데백화점 잠실점도 지난해 2조6000억 원의 매출을 올렸고, 올해 이변이 없는 한 연매출 3조원 돌파가 유력하다. 롯데백화점 본점도 지난해 2조 원 가까이 매출을 찍은 것으로 알려졌다. 현대백화점도 여의도 ‘더현대 서울’이 지난해 오픈 2년 9개월 만에 연매출 1조원을 돌파, 국내 백화점 중 최단기간 1조 매출 신기록을 세웠다.
통계청이 발표한 각 시도별 백화점 판매액 추이를 보더라도, 지역 간 격차는 날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2020년 11조9694억 원이던 서울 백화점 판매액 규모는 3년 만인 지난해 18조6189억 원대까지 급증했다. 조사대상 전국 8개 시ㆍ도 가운데 서울만 유일하게 10%대 성장률(12.3%)을 기록한 것이다. 또 서울 외 7개 시ㆍ도 지역(경기ㆍ부산ㆍ대구ㆍ광주ㆍ대전ㆍ울산ㆍ경남) 판매액(19조7067억원)을 모두 합쳐야만 서울 백화점 판매액을 넘길 수 있는 것으로 추산됐다.
지역별 백화점 판매액을 보면, 그나마 제2의 수도인 부산광역시의 판매액 규모가 전년 대비 8% 뛰면서 체면치레를 했고, 수도권인 경기도도 6% 성장세를 보였다. 반면 호남권 최대 도시인 광주광역시의 백화점 판매액 규모는 1조852억 원으로 1년 전(1조986억 원)보다 1.2% 가소했다. 대전광역시의 백화점 판매액(1조9466억원)도 전년 대비 2.3% 성장하는 데 그쳤다. 대한상공회의소가 조사한 바에 따르면, 국내 백화점 시장은 상위 10개 점포 매출이 전체의 45%를 차지한다. 반면 하위 10개 점포 매출은 전체 업계 매출의 3.5% 수준에 불과하다.
유통업계와 전문가들은 지방 소재 백화점의 잇단 폐업이 수익률 부진에 따른 불가피한 조치라고 본다. 정연승 단국대 경영학부 교수는 “국내 인구가 수도권으로 쏠리고 지방의 소득 수준이 상대적으로 낮아, 지역 백화점 매출 부진이 이어지고 있다”면서 “구매욕구가 높은 젊은 층이 수도권으로 많이 유입되고 지역 고령화 현상이 가속화되는 점도 ‘백화점 매출 양극화’ 현상을 심화시키고 있다”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