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일 금융당국 및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감독원 중소금융감독국은 이날 저축은행과 캐피탈, 여신전문금융사, 상호금융사 등 2금융권 임원들을 소집해 부동산 PF 부실로 인한 손실 인식과 리스크 관리를 위한 충당금 적립 강화 방안 등을 주문했다.
금감원은 고금리 지속에 따라 제2금융권의 PF 연체율 급등 상황이 해소되지 않으면서 손실흡수능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특히 2금융권이 취급하는 토지담보대출과 공동대출 등에 대한 충당금 기준을 더욱 강화하라고 독려했다.
이날 회의에 참여한 저축은행 관계자는 “최근 금감원 간부회의에서 언급한 부동산 PF 부실 대비해 충당금 강화를 강조하기 위해 모인 자리”라고 말했다.
금융당국은 당장 연체 중인 PF 대출을 고정이하부실여신으로 가정하고 대손충당금을 충분히 적립하도록 유도할 예정이다. PF 사업장 정리를 신속하게 진행하기 위해선 금융사들이 그에 맞는 충당금을 먼저 쌓아야 부실 사업장을 매각할 수 있기 때문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PF 부실 사태가 1금융권에는 큰 영향을 끼치지 않을 것으로 보이지만, 2금융권은 PF대출 부실로 연체율이 급등 하는 등 타격이 우려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지난해 2금융권, 특히 저축은행의 연체율은 금융권 전체 평균치를 크게 웃도는 수준이다. 금융권 PF 대출 연체율은 2022년 말 1.19%에서 작년 9월 말 2.42%로 상승했다. 상호금융의 PF 대출 연체율은 같은 기간 0.09%에서 4.18%로 악화했고, 카드 및 캐피탈사의 PF 대출 연체율은 2.39%에서 4.62%로, 저축은행은 2.05%에서 5.56%로 두배 이상 급등했다.
최근 이복현 금감원장은 PF 대출 부실과 관련해 리스크 관리 강화를 연일 주문하고 있다. 이 원장은 전날 증권사 최고경영자(CEO) 간담회에서 PF 리스크 관리를 강조하며 대손충당금 적립을 소홀히 해 금융시장에 충격을 주면 해당 회사와 경영진에게 엄중한 책임을 묻겠다고 엄중 경고했다.
이어 23일 임원회의에서는 “최근 저축은행 등의 PF 연체율이 상승하고 부실우려 사업장이 확대되는 등 부동산PF 부실 정리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면서 “정상적 사업 추진이 어려운 사업장마저 만기 연장하는 등 부실 사업장 정리가 더디게 진행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부실PF 사업장의 정리가 이뤄지지 못할 경우 금융 분야의 생산적 자금배분이 저해됨은 물론이고 실물경제의 선순환도 제한되므로, PF 부실을 보다 속도감 있게 제거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