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금리 기조가 이어지고 글로벌경기 악화 등이 맞물리며 올해도 바이오업계 투자 심리가 얼어붙을 것이란 전망이다. 그럼에도 국내 바이오기업들은 한 단계 도약을 위해 주식시장 입성에 속도를 내고 있어 주목을 끌고 있다.
28일 제약·바이오업계에 따르면, 올해 온코닉테라퓨틱스, 오상헬스케어, 디엔디파마텍, 에이치이엠파마 등 20여 개의 기업이 한국거래소의 문을 두드리며 기업공개(IPO)를 위한 채비에 나서고 있다.
제일약품 자회사인 온코닉테라퓨틱스는 이달 18일 코스닥 기술특례 상장을 위한 관문인 기술성 평가를 통과했다. 온코닉테라퓨틱스는 이번 평가에 참여한 나이스평가정보와 한국발명진흥원으로부터 각각 ‘A’, ‘BBB’ 등급을 받았다. 기술성 평가 통과를 위해선 참여 기관 두 곳 모두로부터 BBB 이상의 평가를 받고, 최소 한 곳에서 A 이상의 등급을 받아야 한다.
회사는 주요 파이프라인인 칼륨경쟁적 위산분비억제제(P-CAB) 계열 신약 ‘자스타프라잔’에 대해 지난해 3월 1억2750만 달러(약 1600억 원) 규모의 기술수출 계약을 체결했다. 이어 지난해 6월엔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신약허가승인(NDA)을 제출함에 따라 기술 완성도 및 사업성 측면에서 좋은 결과를 받았다는 평가다.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로 개발 중인 자스타프라잔은 현재 가장 유력한 국산 신약 후보로, 국내 허가 시 37호 국산 신약으로 이름을 올리게 된다.
김존 온코닉테라퓨틱스 대표이사는 “이번 결과는 우리의 연구개발 기술력과 다양한 성과를 기반으로 지속가능한 성장성을 가진 기업임을 인정받게 된 결과”라며 “코스닥 시장 상장 준비에 속도를 내 국내 바이오산업의 신뢰를 한층 높일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온코닉테라퓨틱스는 연내 코스닥 예비심사 청구 수순을 밟을 계획이다.
오상헬스케어도 코스닥 상장에 도전한다. 2021년 이익미실현 특례 상장을 추진했으나 한국거래소 심사 문턱을 넘지 못했다. 오상헬스케어는 11일 증권신고서를 제출했고, 올해 IPO에 나서는 첫 바이오기업이다. 1996년 설립된 오상헬스케어는 생화학 진단, 분자 진단, 면역 진단 등 체외 진단 분야에서 다각화된 사업 포트폴리오를 성공적으로 구축했다. 지난해 3분기 누적 매출액은 3413억 원으로, 전년도 전체 매출액(1939억 원) 대비 76%의 성장 실적을 3분기 만에 달성했다.
2015년 메르스, 2020년 코로나19 분자 진단 시약을 개발했고, 코로나19 분자 진단 시약은 국내 기업 최초로 미국 식품의약국(FDA) 긴급사용승인을 획득하는 등 기술력을 인정받았다. 지난해 3분기 누적 매출액에서 수출 비중은 97.3%에 달해 글로벌 마켓 중심으로 사업을 펼치고 있다.
온코크로스도 이달 5일 코스닥 시장 상장을 위해 한국거래소에 상장예비심사를 청구했다. 온코크로스는 2021년 기술성평가에서 A, BBB 등급을 획득하고 IPO 절차를 밟았지만 시장 상황 악화로 상장계획을 철회했다. 하지만 지난해 7월 기술성평가에서 전문평가기관 두 곳으로부터 모두 A 등급을 획득했다.
온코크로스는 의약품이 최적의 효능을 나타낼 수 있는 적응증을 발굴하거나 질환에 최적인 약물을 발굴하는 인공지능(AI) 플랫폼 ‘랩터 AI’를 보유하고 있다. 또 AI 신약개발 플랫폼을 활용해 신약 파이프라인을 구축하고 이를 개발하거나 기술수출하는 방식의 사업을 진행 중이다. 주요 파이프라인인 ‘OC514’는 근감소증 등 근육 질환 치료제로 개발 중이다. OC514의 국내 판권은 한국파마에 기술이전됐고, 현재 글로벌 임상2상을 준비하고 있다.
이외에도 에이치이엠파마, 제이투케이바이오, 피노바이오, 이엔셀, 퓨쳐메디신, 하이센스바이오, 레이저옵텍, 로킷헬스케어, 엔지노믹스 등도 IPO 절차를 진행하고 있다.
다만, 시장 상황은 긍정적이지 않다. 실제로 한국바이오협회는 지난해 11월 ‘2023년 글로벌 및 국내 바이오산업 투자 동향’ 보고서를 통해 “2024년 미국과 한국 선거로 정치적 변수를 비롯해 금리 문제, 부동산 위기 등 금융환경 변수들이 산적해 있다. 바이오산업 투자 불황은 지속할 전망”이라는 의견을 제시했다.
한 벤처캐피털(VC) 업계 관계자는 “올해는 옥석을 가리는 시기가 될 것”이라며 “이미 조성된 펀드는 많아서 투자금은 충분히 모였다. 투자의 편차가 더욱 커질 것으로 생각한다. 잘 되는 곳엔 돈이 몰리고, 그렇지 못한 곳은 생존을 결정해야 할 만큼 어려운 시장이 될 것으로 보인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