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영건설 워크아웃, 금융권에 불리한 구조…채권단 손실 분담 가능성 커”

입력 2024-01-05 08:4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3일 서울 여의도 KDB산업은행 본관에서 진행된 태영건설 워크아웃 관련 채권단 설명회에서 채권단 관계자들이 설명을 듣고 있다. (사진제공=KDB산업은행)
▲3일 서울 여의도 KDB산업은행 본관에서 진행된 태영건설 워크아웃 관련 채권단 설명회에서 채권단 관계자들이 설명을 듣고 있다. (사진제공=KDB산업은행)

태영건설 워크아웃(기업구조개선) 작업이 진행 중인 가운데 이 과정에서 국내 금융권의 부담이 증가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태영건설에 대한 익스포져가 크거나 PF 취급비중이 높은 금융사의 경우 직간접적인 비용부담과 손실인식이 불가피하다는 분석이다.

5일 이베스트투자증권은 태영건설의 워크아웃에 대해 "금융권에 불리한 구조"라며 "워크아웃이 실패하거나 교착상태가 장기화할 경우 PF(프로젝트파이낸싱) 부실 전이가 확대되고 금융시장 불안양상이 나타날 수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에 따라 "금융권(채권단)이 일정 부분 손실을 분담하는 형태로 워크아웃 절차가 진행될 개연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태영건설 자구안에 대해 주채권은행(산업은행)과 금융당국은 회의적 입장을 밝힌 바 있다.

태영건설 공시에 따르면 지난해 3분기 말 기준 금융권 총차입금은 1조2000억 원이며 은행과 보험사가 9600억 원으로 83%를 차지하고 있다. 나머지는 증권사와 상호금융, 저축은행으로 구성됐다. 전체 차입금 가운데 PF대출(장기차입금) 규모는 약 7000억 원 수준이다.

전배승 이베스트투자증권 연구원은 "이와 별도로 태영건설이 시공하고 있는 PF 사업장에 대한 지급보증 약정과 관련해서 지급보증처로 지정된 금융기관의 총 보증 한도는 3조1000억 원으로 총차입금 규모를 크게 웃돌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사업장 가운데 주거용의 경우 HUG의 분양보증 이행을 통해 사업 정상화가 가능하다. 하지만 비주거용 혹은 브릿지론의 경우 시공사 교체, 토지 경·공매 등 ‘질서 있는 정리’ 과정이 병행될 가능성이 높다"고 했다.

중후순위로 주로 참여한 증권사, 캐피탈사, 저축은행, 상호금융 등은 손실 위험에 노출될 가능성이 커지는 셈이다. 신용평가업계 자료에 따르면 태영건설 사업장에 대한 증권사, 캐피탈사, 저축은행의 익스포져는 1조6000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20년 째 공회전' 허울 뿐인 아시아 금융허브의 꿈 [외국 금융사 脫코리아]
  • 단독 "한 번 뗄 때마다 수 백만원 수령 가능" 가짜 용종 보험사기 기승
  • 8만 달러 터치한 비트코인, 연내 '10만 달러'도 넘보나 [Bit코인]
  • '11월 11일 빼빼로데이', 빼빼로 과자 선물 유래는?
  • 환자복도 없던 우즈베크에 ‘한국식 병원’ 우뚝…“사람 살리는 병원” [르포]
  • 100일 넘긴 배달앱 수수료 합의, 오늘이 최대 분수령
  • '누누티비'ㆍ'티비위키'ㆍ'오케이툰' 운영자 검거 성공
  • 수능 D-3 문답지 배부 시작...전국 85개 시험지구로
  • 오늘의 상승종목

  • 11.11 11:34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13,666,000
    • +5.94%
    • 이더리움
    • 4,477,000
    • +2.64%
    • 비트코인 캐시
    • 628,000
    • +12.65%
    • 리플
    • 833
    • +5.04%
    • 솔라나
    • 294,300
    • +5.11%
    • 에이다
    • 842
    • +16.46%
    • 이오스
    • 814
    • +18.49%
    • 트론
    • 231
    • +2.67%
    • 스텔라루멘
    • 154
    • +6.94%
    • 비트코인에스브이
    • 86,500
    • +13.07%
    • 체인링크
    • 20,280
    • +4.11%
    • 샌드박스
    • 419
    • +9.9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