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 전략기술 R&D 인재, 직무특성에 따라 특화·공통 따로 양성한다

입력 2023-12-20 14:3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과기정통부, ‘국가전략기술 인재 확보 전략’ 발표
특화 R&D 인재 양성은 출연연 등 특화연구소 활용
공통 R&D 인재 양성은 특화교육기관을 따로 지정
외국인 인재 국내 정착 프로그램 확대키로

▲출처=과학기술정보통신부
▲출처=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정부가 연구·개발(R&D) 인재 확보를 위해 국가전략기술별 특화 연구인력과 여러 전략기술에 활용할 수 있는 공통 연구인력을 따로 양성하겠다는 ‘투 트랙’ 전략을 내놨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는 20일 과학기술자문회의 제6회 심의 회의에서 심의·확정된 ‘국가전략기술 인재 확보 전략’을 통해 이 같은 내용을 발표했다.

각 전략기술에는 특정기술 전문가뿐만 아니라 관련 엔지니어 등 광범위한 과학·공학 인재가 필요하다. 그러나 기존 범부처 인재정책은 직무·직종에 대한 고려 없이 부처별 소관에 따른 기술 분야에 특정해 분절적으로 인재를 양성해왔던 한계점이 지적돼왔다.

이에 과기정통부는 특허출원 데이터와 삼성전자, LG화학, 현대차 등 주요 기업 채용공고를 시범 직무분석을 시행했으며, 그 결과 기술별로 공통 활용할 수 있는 연구인력이 존재했다고 설명했다.

여기서 말하는 특화 R&D 인재는 분야별 특화된 전문 영역에서 주로 활동하며, 소속분야만의 기술특징을 대표하는 직무를 수행하는 인재를 말한다. 공통 R&D 인재는 동일 기술군 내에서 인접 분야 간 이동가능한 공통성을 지니고, 소속 분야를 뒷받침하는 전문 인구 인력을 뜻한다.

이에 따라 정부는 특화 R&D 인재 양성에는 대학이나 정부출연연구기관에 설치한 특화연구소를 활용하고, 공통 R&D 인재는 특화 교육기관을 따로 지정해 기반 기술을 강화할 수 있도록 연구비를 지원하는 체계를 검토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데이터 활용을 통한 인재정책의 근거 기반을 강화하기 위해 R&D 인재를 데이터를 토대로 파악하는 통합정보 분석체계도 마련한다. 이를 통해 전략기술 분야별 연구자의 국가·기관 간 이동성 분석을 통해 분야별 인재 성장흐름 및 유출입을 파악할 계획이다.

또한, 국내와 전략기술 연구자 연구 동향을 비교하는 등 기술과 인재 공백 영역을 발굴하고 R&D 기획 및 투자와도 연계한다는 방침이다. 이에 따라 국가연구자정보시스템에 등록된 R&D 과제 참여자 51만 명의 취업 정보도 파악할 계획이다.

해외연수 지원사업은 분야별·대상별로 체계화한 ‘K-스타십’(가칭) 프로그램을 새로 운영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우수 외국인 인재 국내 정착을 위해 국내에서 석박사 학위를 받은 외국 인재가 영주권이나 국적을 간소화된 절차로 취득하는 ‘과학기술 우수인재 영주·귀화 패스트트랙’을 4대 과학기술원에서 국내 주요 대학까지로 확대하는 방안도 검토할 방침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20년 째 공회전' 허울 뿐인 아시아 금융허브의 꿈 [외국 금융사 脫코리아]
  • 단독 "한 번 뗄 때마다 수 백만원 수령 가능" 가짜 용종 보험사기 기승
  • 8만 달러 터치한 비트코인, 연내 '10만 달러'도 넘보나 [Bit코인]
  • '11월 11일 빼빼로데이', 빼빼로 과자 선물 유래는?
  • 환자복도 없던 우즈베크에 ‘한국식 병원’ 우뚝…“사람 살리는 병원” [르포]
  • 100일 넘긴 배달앱 수수료 합의, 오늘이 최대 분수령
  • '누누티비'ㆍ'티비위키'ㆍ'오케이툰' 운영자 검거 성공
  • 수능 D-3 문답지 배부 시작...전국 85개 시험지구로
  • 오늘의 상승종목

  • 11.11 11:50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13,576,000
    • +5.75%
    • 이더리움
    • 4,469,000
    • +2.43%
    • 비트코인 캐시
    • 624,500
    • +11.02%
    • 리플
    • 831
    • +4.53%
    • 솔라나
    • 293,000
    • +3.53%
    • 에이다
    • 837
    • +15.93%
    • 이오스
    • 815
    • +18.46%
    • 트론
    • 232
    • +3.57%
    • 스텔라루멘
    • 154
    • +6.94%
    • 비트코인에스브이
    • 86,200
    • +12.09%
    • 체인링크
    • 20,280
    • +4.7%
    • 샌드박스
    • 423
    • +10.7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