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리한 확대땐 건전성 악화 우려
"신규취급액 기준으로 바꿔야"
카카오뱅크를 제외한 인터넷전문은행(케이뱅크, 토스뱅크)의 올해 중·저신용자대출 목표치 달성이 사실상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 인터넷은행 설립 취지인 중·저신용자대출 확대를 통한 ‘포용금융’ 실천을 외면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다만, 연체율 등 리스크 관리를 위해 현재 잔액 기준 대신 신규취급액 기준으로 바꿔야 타당하다는 주장도 제기된다.
22일 인터넷은행 업계에 따르면 카카오·케이·토스뱅크 등 인터넷은행의 중·저신용자대출 비중은 각각 28.7%, 26.5%, 35.6%를 기록했다.
이들 회사의 올해 목표치는 각각 30%, 32%, 44%다. 목표치의 1.3포인트(p)% 남겨둔 카카오뱅크를 제외한 나머지 업체들 사실상 목표 달성이 힘들다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토스뱅크는 2년 연속 목표치 미달이다. 지난해 카카오뱅크와 케이뱅크는 목표치인 25%를 달성한 반면 토스뱅크는 목표치(42%)에 미치지 못한 40.4%였다.
인터넷은행은 매년 신용대출 가운데 신용등급 4등급, 신용평점 하위50% 중·저신용자에게 일정한 비중 이상의 대출을 해야한다. 인터넷은행 설립 취지가 중·저신용자 대출 비중 확대를 통한 포용금융이다.
다만, 중·저 신용자 대출 목표치를 무리하게 채울 경우 연체율 상승과 건전성 악화로 이어질 수 있다. 8월 말 기준 인터넷은행 3사의 평균 신용 대출 연체율은 1.20%. 시중은행 평균 0.43%의 3배 수준에 달한다. 중·저신용자 대출 연체율은 더 심각하다. 카카오뱅크 1.68%, 케이뱅크 3.40%, 토스뱅크 4.13%로 평균 연체율이 3.07%까지 치솟은 상태다.
금융당국은 인터넷은행들이 올해 주택담보대출을 크게 늘리면서 상대적으로 중·저신용자 대출 비중은 제자리 걸음에 그쳤다고 판단한다. 실제 인터넷은행 3사가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양경숙 의원(더불어민주당)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이들 은행의 9월 말 기준 주담대(전·월세 대출 포함) 잔액은 약 24조954억 원으로 집계됐다. 전월 말 23조3829억 원보다 7125억 원 늘었다. 월간 증가 폭은 1월 606억 원에서 6월 1조7505억 원까지 확대됐다가 당국의 경고에 7월 1조2909억 원 8월 1조762억 원으로 소폭 감소하기도 했다.
업계와 학계에서는 현재 인터넷은행의 중·저신용자 대출 비중 산술을 현실적으로 바꿔야 한다고 주장한다. 인터넷은행 관계자는 “신용대출 중도상환수수료가 없기 때문에 갚는데 무리가 없는 구조”라면서 “결국 언제든지 갚을 수 있는 숫자 대신 취급액 기준으로 바꾸는게 합리적”이라고 말했다. 이어 “중·저신용자 대출 비중을 계산할 때 잔액 기준이 아닌 신규 취급액 기준으로 산정 방식을 변경하는 방안과 신용대출에 주담대를 포함해 의무비율을 정하는 방안 등을 고려해야 한다”고 부연했다.
학계에서도 이같은 인터넷은행의 입장에 타당성이 있다는 입장이다. 강석훈 동국대학교 경영학부 교수는 “인터넷은행은 2021년부터 올해까지 매년 말 목표 중·저신용대출 잔액 비율을 설정했는데, 현재 잔액 기준은 경직적이고 중도 상환 등으로 비중 관리에 어려움이 있다”며 “경기 여건 등을 반영한 탄력적인 신규 취급액 기준으로의 변경이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