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김포의 서울시 편입 구상으로 촉발된 국민의힘 ‘메가시티’가 서울을 넘어 PK(부산·경남), TK(대구·경북), 충청, 호남 등 전국으로 확대될 조짐이다.
국민의힘 ‘뉴시티 프로젝트 특별위원회’(이하 특위) 위원장인 조경태 의원은 7일 국회에서 특위 첫 회의를 열고 “서울이 기폭제가 되어 ‘서울·부산·광주 3축 메가시티’ 그리고 더 나아가서 대전과 대구를 잇는 초광역 메가시티가 이뤄질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조 위원장은 “연말 전까지는 가시적인 성과가 한두 개는 나와야 하지 않겠냐”며 “아마 12월까지는 특별법이 됐든, 일반법이 됐든 속도감 있게 (마련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서울 편입 추진 법안에) 특정 지역 한 두군데만 포함할지 서너군데를 할지 고민하고 있다”고 부연했다.
당초 특위는 김포의 서울시 편입을 추진하기 위해 ‘수도권 주민 편익 개선 특위’란 가칭으로 닻을 올린 바 있다. 하지만 전날 김기현 국민의힘 대표가 “비(非)수도권도 지역별 거점 역할을 하는 메가시티를 키우겠다는 의지를 표명해 오면 검토하겠다”며 전국 확대를 시사하면서 분위기가 반전됐다.
메가시티 구상의 전국 확대에 본격 시동이 걸리면서 ‘지역 거점 메가시티’가 어디가 될 것이냐에 시선이 쏠린다.
지금까지 특위에서 언급된 지역은 부산·광주·대전·대구 등이다. 다만 ‘바텀 업’ 방식으로 주민 의견을 수렴해 추후 지역을 선정하겠다는 게 특위의 공식 입장이다.
조 위원장은 ‘서울·부산·광주 3축 메가시티 등 지금까지 언급된 지역들은 사실상 확정된 것이냐’는 질문에 선을 그었다. 그는 “부산·울산 시민들이 메가시티를 간절히 바라고 원하면 저희들이 적극적으로 함께 힘을 모을 생각”이라며 “광주·전남도 마찬가지다. 광주가 메가시티를 바란다면 얼마든지 그 지역도 함께 할 수 있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김포가 모범적인 케이스라고 할 수 있는 것이 과거 체제는 탑다운이었다. 정치가나 행정가에 의해 인위적으로 꾸려진 행정 체계였다면 그것은 낡은 방식”이라며 “앞으로의 체계는 시민과 토론, 공유가 있어야 하고 바텀업 방식”이라고 부연했다.
그러면서 “최근 국제도시지표를 보면 도쿄가 세계 4위다. 반면 서울은 14위로 밀려 있다”며 “서울을 세계 5대 국제도시로 키워내고 지방 도시도 건강하게 자족 도시로 이어질 수 있는 야심 찬 프로젝트가 바로 뉴시티 프로젝트 특위”라고 강조했다.
한편, 전날 인선이 완료된 특위는 수도권 인사 외에도 부산, 대구, 대전 등 지역구 현역 의원이 다수 포함됐다.
관련해 조 위원장은 “지역 안배도 하고, 미시적이지 않고 거시적인 계획을 가지고 했기 때문에 전국적인 단위로 위원을 임명했다”며 “아쉬운 건 호남 지역 (위원이 없다). 광주 메가시티를 이뤄야 하는데, 그쪽으론 저희들이 차후 전문가분들을 위원으로 찾아보도록 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