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소비자물가가 1년 전보다 3.8% 상승해 석달 째 3%대 오름세를 지속했다. 상승 폭은 7개월 만에 가장 컸다.
이스라엘-하마스 사태 여파로 인한 국제유가 급등과 이상저온에 큰 폭으로 오른 농산물 가격 상승이 물가 오름세를 키웠다.
정부는 물가 하락 속도가 예상보다 더뎌질 수 있다고 보고 물가 안정화를 위한 범부처 특별물가안정체계를 가동한다.
2일 통계청이 발표한 '10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13.37(2020=100)로 1년 전보다 3.8% 올랐다.
이는 올해 8월 3.4%, 9월 3.7%, 10월 3.8%로 석달 연속 3%대 상승률을 이어간 것이며 올해 3월(4.2%) 이후 가장 높은 상승 폭이다.
물가 오름세 확대는 이스라엘-하마스 사태로 인한 국제유가 급등이 영향을 미쳤다. 그 여파로 지난달 석유류 가격은 전년대비 1.3% 하락하는데 그쳤다. 전월보다는 1.4% 상승했다.
석유류 가격(전년대비)은 고유가로 인해 올해 7월 -25.9%, 8월 -11.0%, 9월 -4.9%, 10월 -1.3%로 하락 폭이 축소되면서 오히려 전체 물가 상승을 키우는 요인이 되고 있다.
농축수산물 가격은 1년 년보다 7.3% 올랐다. 전월(3.7%)보다 상승 폭이 확대됐다.
특히 이상저온 등 기상 여건 악화로 채소류(5.3%)를 비롯한 농산물이 13.5% 올랐다. 이는 2021년 5월(14.9%) 이후 29개월 만에 가장 높은 오름폭이다.
농산물의 물가상승률에 대한 기여도는 0.61%포인트(p)였다. 농산물 가격이 전체 물가를 0.61%p가량 끌어 올렸단 얘기다.
신선 어개·채소·과실 등 기상조건이나 계절에 따라 가격변동이 큰 품목으로 구성된 신선식품지수는 12.1% 올랐고, 이중 신선과실지수는 26.2% 상승했다.
구입 빈도와 지출비중이 높아 체감물가에 가까운 생활물가지수는 4.6% 올라 전월(4.4%)보다 오름폭이 확대됐다.
다만 외식 등 개인서비스 물가 상승률은 9월 4.2%에서 10월 4.1%로 축소됐고, 전기·가스·수도의 경우 19.1%에서 9.6%로 상승률이 대폭 내려갔다.
물가의 기조적 흐름을 보여주는 근원물가(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 지수)는 3.6% 상승했고,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방식의 근원물가 지표인 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 지수는 3.2% 올랐다.
추경호 부총리는 이날 주재한 비상경제장관회의 겸 물가관계장관회의에서 물가 흐름에 대해 "최근 국내 물가는 중동지역 지정학적 리스크, 이상저온 등으로 인해 당초 예상보다 하락 속도가 더 완만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물가 하락 속도가 더뎌지질 수 있다는 얘기다.
그러면서 "모든 부처가 물가 안정을 정책의 최우선 순위에 두는 범부처 특별물가안정체계를 즉시 가동하고, 체감도 높고 신속한 물가 대응을 위한 현장 중심의 물가 대응체계도 가동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