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 불확실성이 확대되고 있다. 1월 이후 6개월째 하락하던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은 8월 상승 전환했다. 지난해 하반기 이후 물가 둔화에 따른 기저효과에 국제유가 상승 등 대외요인이 맞물리면서 당분간은 고물가가 지속할 전망이다.
30일 통계청에 따르면, 7월 2.3%까지 하락했던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은 8월 3.4%로 반등했다. 부문별로 생활물자가지수 상승률이 전월 1.8%에서 3.8%로, 신선식품지수 상승률은 1.3%에서 5.6%로 급등했다. 품목 성질별로는 외식 등 개인서비스(4.3%)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다.
더 큰 문제는 9월 이후다. 7월 이후 급등세를 보이고 있는 국제유가가 이달부턴 공업제품과 석유류 물가에도 본격적으로 반영될 것으로 보인다. 소비자물가의 선행지표인 생산자물가에는 이미 유가 상승분이 반영됐다. 8월 0.9% 오르며(전월 대비) 16개월 만에 최대 상승 폭을 기록했다.
국회입법조사처는 27일 발간한 ‘최근 소비자물가 동향: 리스크 요인과 전망의 불안정성(황인욱·김규호 입법조사관)’ 보고서에서 “최근 기상이변, 지정학적 리스크, 산유국들의 감산 기조 등으로 에너지·농식품 가격이 불안해지는 상황에서 주요국의 경제·금융지표와 통화·재정정책 대응이 상호 영향을 주면서 물가 상·하방 리스크가 혼재된 양상”이라고 분석했다.
특히 “국제유가 하단 지지력을 유지하기 위한 오펙플러스(OPEC+)의 감산은 올 초부터 물가 상승률 둔화에 크게 기여한 에너지 물가 상방압력을 높이게 될 것”이라며 “향후 공급 부족에 대한 기대심리가 시장에 반영돼 예비적·투기적 수요를 높일 가능성 역시 커졌다”고 우려했다.
그간 유가 상승에 따른 물가 상승을 억누르던 유류세 인하도 예정대로라면 다음 달 말 종료된다. 추가 연장이 없다면, 11월 이후 오른 국제유가는 석유류 물가에 고스란히 반영된다. 여기에 유가 상승을 이유로 전기·가스 등 공공요금이 추가 인상되면 물가 충격은 더 커진다.
기저효과도 변수다. 올해 7월까지 저물가에는 지난해 고물가가 반영됐다. 지난해 7월 물가 상승률은 6.3%에 달했다. 올해 7월 상승률이 2.3%까지 내렸던 건 일종의 통계적 착시다. 지난해 8월 이후에는 물가가 점차 안정됐다. 지난해 덜 오를 만큼, 올해는 더 오를 여지가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