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은행 “2027년 기업대출 점유율 1위…가계보다 기업 쪽에 무게”

입력 2023-09-07 16:01 수정 2023-09-07 16:2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강신국 부문장 "건전한 금융이 기업의 성장 도모하는 게 '기업금융명가'”
기업대출 점유율 2025년 2위, 2027년 1위 달성 계획

▲강신국 우리은행 기업투자금융부문장이 7일 서울 우리은행 본점에서 열린 '기업금융 명가 재건을 위한 전략 발표회'에서 기업금융 강화 전략을 설명하고 있다.  ('기업금융 명가 재건을 위한 전략 발표회' 유튜브 화면 캡쳐.)
▲강신국 우리은행 기업투자금융부문장이 7일 서울 우리은행 본점에서 열린 '기업금융 명가 재건을 위한 전략 발표회'에서 기업금융 강화 전략을 설명하고 있다. ('기업금융 명가 재건을 위한 전략 발표회' 유튜브 화면 캡쳐.)

우리은행이 2027년까지 자산포트폴리오를 ‘기업대출 60, 가계대출 40’으로 조정하고 기업대출 점유율 1위를 달성하겠다고 발표했다.

7일 우리은행은 서울 회현동 본점에서 ‘기업금융명가 재건을 위한 전략 발표회’를 열고 이 같은 하반기 기업금융 강화 목표를 밝혔다.

우리금융 측은 “2025년까지 기업대출 점유율 2위를 탈환하고 2027년까지 주요 은행 중 1위를 달성하겠다”며 10대 핵심 추진과제를 제시했다.

대기업의 경우, 2027년까지 대기업 여신을 약 15조 원까지 늘려 주채권은행 11개 중 계열기업 여신점유율 1위를 달성하겠다고 했다. 중견기업 부문에서는 정부 합동 ‘라이징리더스(Rising Leaders) 300’ 사업을 집중적으로 추진해 2028년까지 300개 중견기업에 총 4조 원을 지원할 방침이다. 올해 8월 말까지 19개 사를 대상으로 2000억 원을 지원했다.

방산, 이차전지, 반도체 등 신성장산업에는 매년 4조 원의 금융지원을 할 방침이다. 올해 8월 말 기준 4조7000억 원으로, 연간 목표 4조 원을 이미 초과 달성했다.

이 같은 기업금융 목표 달성을 위해 조직·인사 등 개편도 지속할 계획이다. 우리은행은 앞서 7월 중소기업 특화채널인 비즈(BIZ)프라임센터를 반월·시화에 개설한 데 이어 올해 9월 남동·송도, 창원·녹산에도 센터 개설을 확정했다. 또한 현장 중심 기업금융 전문인력 확보를 위해 인사 권한을 소관 사업그룹으로 이관했다.

신성장산업의 경우 전담 심사팀을 신설해 심사의 속도와 건전성을 동시에 강화하는 시스템을 구축했다. 또한, 지역별 스타트업, 중소기업 지원을 위해 지자체와 상호협력 파트너십 체결을 확대해갈 방침이다.

강신국 우리은행 기업투자금융부문장은 “‘기업금융 명가’의 개념을 ‘건전한 금융이 기업의 성장을 도모해 경제 활력 제고라는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것’으로 잡았다”며 “기업에 방점을 둬서 현재 기업대출, 가계대출이 각각 50대 50 수준인 은행의 자산포트폴리오를 기업 쪽으로 더 강화하려는 게 (우리은행의) 궁극적인 목적”이라고 말했다.

이어 강 부문장은 “대기업 대출은 연평균 증가율 목표치를 30%로, 중소기업 대출은 10%로 수립하고 실행 중”이라고 설명했다.

기업대출 확대에 따른 부실 가능성에 관해 강 부문장은 “대기업 부문은 연체율이 0%에 수렴한다”고 했다. 정진완 우리은행 중소기업그룹장은 “중소기업은 취약한 부분도 있지만, 신성장 사업의 심사 기능을 강화하고 있다”며 “특히 심사부에 인력을 투입하고 지방공단 등에 직접 지점장급과 심사부를 파견해서 현장 심사를 강화하고 있다”고 했다.

이날 우리은행 측은 임종룡 우리금융그룹 회장 취임 이후 5개월간의 기업금융 실적도 발표했다. 강 부문장은 “회장님 취임 당시 ‘기업금융 명가 재건’의지를 밝힌 뒤 아직 출발선상에 있지만, 그간 ‘금융은 돈이 흘러가야 할 곳에 흘러야 한다’라는 방침 아래 실제 실적을 내고 있다”고 했다. 올해 8월 말까지 지난해 말 대비 대기업 3조6000억 원, 중소기업 2조8000억 원 등 기업대출이 총 6조4000억 원 증가했다. 우리은행은 연말까지 대기업 4000억 원, 중소기업 5조2000억 원 등 총 5조6000억 원을 추가로 공급할 예정이다.

또한 방산·이차전지·반도체 등 ‘신성장산업·기업’을 대상으로는 7월 말까지 7조766억 원을 지원했다. 임종룡 회장 취임 때인 3월 말 대비 5조1000억 원을 지원했다.

이밖에 중견기업 지원을 위한 ‘라이징리더스 300’ 사업으로 8월 말까지 2000억 원을 지원했다. 9월 중 선정 완료 후, 총 4314억 원의 여신을 지원하고 향후 5년간 총 4조 원을 지원할 예정이다. 중소기업·소상공인 금융비용 부담 완화를 위한 상생금융에는 10억 원을 지원 완료했고 올해 말까지 610억 원을 달성할 계획이다.

기업금융이 가계대출에 비해 건전성 관리는 수월하지만, 시중은행들이 저금리 경쟁에 뛰어들면 수익성이 위험해질 수 있다는 지적에 대해 강 부문장은 ‘적정성장’을 하겠다고 답했다. 강 부문장은 “마진이 없으면 우량자산이 아니라는 개념을 갖고 이 계획 아래에서 성장 계획을 수립했다”며 “마진이 없으면 부실로 이어질 수 있고, 추후 돈이 필요한 고객에게 돈을 제공하지 못하는 상황에 처할 수도 있기에 양쪽을 봐가면서 성장 전략을 추진 중”이라고 설명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20년 째 공회전' 허울 뿐인 아시아 금융허브의 꿈 [외국 금융사 脫코리아]
  • 단독 "한 번 뗄 때마다 수 백만원 수령 가능" 가짜 용종 보험사기 기승
  • 8만 달러 터치한 비트코인, 연내 '10만 달러'도 넘보나 [Bit코인]
  • '11월 11일 빼빼로데이', 빼빼로 과자 선물 유래는?
  • 환자복도 없던 우즈베크에 ‘한국식 병원’ 우뚝…“사람 살리는 병원” [르포]
  • 100일 넘긴 배달앱 수수료 합의, 오늘이 최대 분수령
  • '누누티비'ㆍ'티비위키'ㆍ'오케이툰' 운영자 검거 성공
  • 수능 D-3 문답지 배부 시작...전국 85개 시험지구로
  • 오늘의 상승종목

  • 11.11 13:32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13,908,000
    • +6.11%
    • 이더리움
    • 4,445,000
    • +1.81%
    • 비트코인 캐시
    • 614,000
    • +3.19%
    • 리플
    • 825
    • +3.51%
    • 솔라나
    • 290,600
    • +3.67%
    • 에이다
    • 822
    • +4.98%
    • 이오스
    • 800
    • +10.04%
    • 트론
    • 232
    • +3.11%
    • 스텔라루멘
    • 156
    • +6.85%
    • 비트코인에스브이
    • 84,850
    • +5.08%
    • 체인링크
    • 19,760
    • -0.35%
    • 샌드박스
    • 418
    • +8.0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