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재생은 발전 30.6%·설비45.3%에서 감소 관측
산업부 관계자 “10차보다 수요 증가 예상, 11차 공급 여력에 원전 포함”
정부가 원자력발전은 늘리고 재생에너지는 줄이는 내용의 전력수급기본계획(이하 전기본) 수립을 서둘러 착수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8일 2023년 제4차 전력정책심의회를 열고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추진방향’을 보고했다.
앞서 10일 열린 에너지위원회에서 조속히 11차 전기본 수립 착수가 필요하다는 다수 위원의 의견이 제시됐다. 산업부는 이를 종합적으로 고려해 신속히 11차 전기본 수립 절차에 돌입하기로 했다.
또 반도체·이차전지 등 첨단산업 신규투자 확대, 데이터센터 건설, 산업과 생활의 전기화 확산 등 최근 급격한 전력수급 여건 변화에 제대로 대응하기 위함도 11차 전기본 수립을 서두르는 이유다.
이에 11차 전기본 워킹 그룹은 최근 여건 변화에 따른 장기 전력수요를 과학적 방식을 동원해 정밀하게 전망하고 이를 바탕으로 안정성, 효율성, 탄소중립 등의 정책목표가 조화된 전원 믹스를 도출할 계획이다.
특히 재생에너지·수소 등 무탄소전원을 보급해나가면서도 신규원전 도입 등으로 비용 효율적인 전원 믹스를 구성하는 합리적인 전력 공급능력 확충방안을 구체적으로 검토할 예정이다. 전력공급 안정성과 계통 유연성을 담보할 수 있도록 ‘경직성(원전·재생에너지) + 유연성(화석연료·수소·에너지저장장치)’ 전원의 최적조합을 검토한단 방침이다.
다만 10차 전기본과 비교할 때 원전 증가, 신재생 감소 등의 전원별 설비·발전량의 변화가 불가피할 전망이다.
10차 전기본에선 2036년 기준 전원별 발전량과 비중은 △원전 230.7Twh, 34.6% △신재생 204.4Twh, 30.6%로 계획했다. 설비용량과 비중은 △원전 31.7Gwh, 13.2% △신재생 108.3Gwh, 45.3%로 수립했다.
정부가 탄소중립을 위해 재생에너지도 필요하다곤 밝히고 있지만, 원전 비중이 높아지는 만큼 신재생에너지는 줄어들 수밖에 없을 것으로 관측된다.
아울러 산업부는 11차 전기본에 수급여건 변화에 맞춘 전력망 및 스토리지 구축방안, 전력시장 개편 방향 등도 포함할 방침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전력수요를 다시 추산할 계획인데 예상으로 10차 전기본 보다 증가 가능성이 있어 보인다”며 “전력 공급 관련 10차에서 추가 설비 확충 계획을 거의 하지 못했는데 11차에선 확충 가능성이 있고 공급 여력에 원전 등도 포함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