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투자증권은 14일 “달러 약세가 금융시장에 주는 시사점은 위험자산 선호심리 강화”라며 “달러 추가 약세 및 엔화 추가 강세 가능성이 높다”고 진단했다.
박상현·류진이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미국 6월 소비자물가가 시장에 안도감을 주면서 달러화 지수가 지난해 4월 이후 가장 낮은 수준까지 급락했다”며 “한 때 145엔을 위협하던 달러-엔 환율이 138엔까지 급락한 것도 달러화 약세폭을 확대시키는 또 다른 배경으로 작용했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물가 및 고용시장의 동반 둔화 기조를 고려하면 미 연준의 추가 금리인상 횟수가 1회에 그칠 가능성이 높다”며 “이는 미국과 여타 주요국간 통화정책 차별화 현상 해소로 이어지면서 달러 약세 압력을 높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어 “동시에 ECB 추가 금리인상 및 일본은행의 초완화 통화정책 수정 기대감 역시 유로화, 엔의 추가 강세 요인이자 달러 추가 약세 재료다”라며 “미국 경제의 침체 리스크 해소, 즉 연착륙 기대감 확산이 위험자산 선호 현상을 강화시킬 수 있다는 점도 하반기 달러 추가 약세 압력으로 들 수 있다”라고 했다.
두 연구원은 “그동안 공격적 금리인상 및 경기침체 우려로 약세를 보였던 자산 및 원자재 가격의 반등이 기대된다”며 “위험자산 선호 심리를 대변하는 JP모건 EMBI 스프레드는 지난해 미 연준의 금리인상 사이클이 시작되기 직전 수준까지 하락했다”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금리 급등과 달러 강세 여파로 큰 폭으로 조정받았던 비트코인 가격의 상승 랠리 역시 달러 약세 전환 분위기를 반영하고 있다”라고 덧붙였다.
또 두 연구원은 “원자재 시장 역시 달러 약세로 꿈틀거리는 모습”이라며 “유가 상승 요인, 구리 등 일부 원자재 가격의 소폭 상승도 달러 약세 영향으로 평가된다”라고 진단했다.
이어 “일방적 추세를 보이던 달러와 엔화 추세의 전환은 각종 자산 및 원자재 가격 흐름에도 큰 영향을 줄 것”이라고 내다봤다.
하반기 엔화의 추가 강세 시 엔-원 환율의 추가 상승도 예상했다.
두 연구원은 “엔화 추가 강세 및 엔-원 환율의 추가 상승은 그동안 국내와 일본 증시간 차별화 현상의 해소로 이어질 수 있을 것”이라며 “엔화 초약세 현상에 힘입어 강한 랠리를 보이던 일본 증시가 엔화 강세로 숨고르기를 보일 수 있어 글로벌 자금의 일본 증시 선호 현상도 약화가 기대된다. 즉, 외국인 수급측면에서 국내 증시에는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