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이 22일 발표한 '5월 소비자동향조사 결과'를 보면 기대인플레이션율은 3.5%로 전월 대비 0.2%p 하락했다.
기대인플레이션은 지난 2021년 2월부터 지난해 3월까지 14개월 연속 2%대에 머물렀다. 그러나 같은 해 7월 국제유가 상승 등으로 4.7%를 기록하며, 역대 최고치로 치솟았다. 10월 4.3%로 내린 후 11월과 12월 각각 4.2%, 3.8%로 하락세를 보였다. 그러다 올해 1월 3.9%로 석 달 만에 반등했고, 2월에는 다시 4.0%를 찍었다가 3월 하락세로 전환했다. 5월까지 석 달 연속 내림세다.
향후 1년간 소비자물가 상승에 영향을 미칠 주요 품목의 응답 비중은 공공요금(76.1%), 농축수산물(30.4%), 석유류제품(28.5%) 순이었다. 전월에 비해서는 공업제품(+3.8%p)의 응답 비중이 증가한 반면, 석유류제품(-6.8%p), 공공요금(-1.5%p) 비중은 감소했다.
지난 1년 동안 소비자물가에 대한 체감상승률을 뜻하는 물가인식 역시 4.7%로 지난달보다 0.2%p 내렸다.
물가가 내려갈 것으로 기대하면서도 금리수준전망은 오히려 소폭(+3p) 올랐다. 황희진 한은 경제통계국 통계조사팀장은 "여전히 높은 물가수준과 주요국의 금리 인상이 이어진 영향"이라고 설명했다.
주택가격전망은 주택가격 하락폭 둔화가 지속되면서 5p 상승한 92를 기록했다. 여전히 낮은 수준이지만 작년 7월 82에서 11월 61로 바닥을 찍은 후, 꾸준히 오르는 모양새다.
경제 상황에 관한 심리를 종합적으로 판단하는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98로 전월 대비 2.9p 상승했다. 경기 둔화 우려에도 불구하고 소비 회복 흐름에 따른 내수 부진 완화 기대감 등의 영향이다.
다만 지수 수준은 지난해 6월부터 계속 100보다 아래를 기록하고 있는데, 이는 장기평균치(2003∼2022년)보다 소비 심리가 비관적이라는 의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