엿새간 232명 사망했다…태국 ‘송끄란’ 축제 뭐길래

입력 2023-04-18 15:0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사진=AFP 연합뉴스
▲사진=AFP 연합뉴스
태국 최대의 명절이자 축제인 송끄란 연휴 기간에 230여 명의 사망자가 나왔다. 축제 열기가 과열되면서 음주와 과속 등 교통사고가 급속도로 늘었다.

17일 방콕포스트에 따르면 태국 보건부는 이달 11~16일 엿새간 교통사고로 인한 부상자가 1만7775명으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19.3% 늘었다고 밝혔다. 이중 입원한 중상자는 3814명으로 81.8% 급증했다. 다만 사망자는 작년보다 26.8% 감소한 232명으로 집계됐다.

사고 원인으로는 과속이 39.1%로 1위를 차지했고 음주운전(23.9%)이 그 뒤를 이었다. 대다수 사고는 오토바이(78.3%)에 의해 일어났고 사고 장소로는 고속도로가 42.2%, 지방도로가 29.6%를 기록했다. 사고는 대부분 자정에서 새벽 1시 사이에 발생했다. 사상자의 9.87%는 20~29세다.

태국에서는 타이력(歷)으로 정월 초하루인 송끄란(4월 13일)을 기념하는 축제가 해마다 주요 도시에서 열린다. 불운을 쫓고 행운을 기원하는 의미에서 서로에게 물을 뿌리는 풍습으로 유명하다. 일명 ‘물의 축제’라고도 불린다. 2020년 초 코로나19가 확산하면서 지난 3년간 당국은 물싸움을 금지했지만 올해 송끄란 축제에선 4년간 금지됐던 물총 싸움이 허용됐다. 단 운전 중 물총 싸움은 금지됐다. 그러나 일부 인원은 이를 준수하지 않았다.

과속에 미끄러진 차가 집 앞에서 물을 뿌리던 가족을 덮쳐 한 명이 숨지는 사고가 발생하기도 했다.

코로나19 재유행 우려도 커지고 있다. 방콕포스트에 따르면 태국 질병통제국(DDC)은 9~15일 한 주간 코로나19 치료를 위해 435명이 입원했다. 매체에 따르면 이는 전주보다 2.5배 더 많은 수치다.

질병통제국은 송끄란 연휴 이후 코로나19 감염자 수가 더 늘어날 것으로 예상하면서 물축제에 참가한 시민들은 최소 7일 동안 증상이 있는지 스스로 관찰하고 노인이나 만성질환자와의 접촉을 피할 것을 권고했다. 전문가들은 1~2주 후에 송끄란의 영향으로 확진자가 더 큰 폭으로 늘어날 수 있다고 전망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잠자던 내 카드 포인트, ‘어카운트인포’로 쉽게 조회하고 현금화까지 [경제한줌]
  • '20년 째 공회전' 허울 뿐인 아시아 금융허브의 꿈 [외국 금융사 脫코리아]
  • 단독 "한 번 뗄 때마다 수 백만원 수령 가능" 가짜 용종 보험사기 기승
  • 8만 달러 터치한 비트코인, 연내 '10만 달러'도 넘보나 [Bit코인]
  • 말라가는 국내 증시…개인ㆍ외인 자금 이탈에 속수무책
  • 환자복도 없던 우즈베크에 ‘한국식 병원’ 우뚝…“사람 살리는 병원” [르포]
  • 불 꺼진 복도 따라 ‘16인실’ 입원병동…우즈베크 부하라 시립병원 [가보니]
  • “과립·멸균 생산, 독보적 노하우”...‘단백질 1등’ 만든 일동후디스 춘천공장 [르포]
  • 오늘의 상승종목

  • 11.1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13,345,000
    • +3.55%
    • 이더리움
    • 4,391,000
    • -0.5%
    • 비트코인 캐시
    • 597,500
    • +0.67%
    • 리플
    • 806
    • -0.12%
    • 솔라나
    • 289,700
    • +1.47%
    • 에이다
    • 800
    • -0.12%
    • 이오스
    • 778
    • +7.31%
    • 트론
    • 230
    • +0.88%
    • 스텔라루멘
    • 151
    • +2.03%
    • 비트코인에스브이
    • 82,100
    • +0.43%
    • 체인링크
    • 19,250
    • -4.23%
    • 샌드박스
    • 402
    • +2.8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