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당국 엄포에도 지난해 사라진 은행 점포만 290개

입력 2023-04-02 17:5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그래픽=신미영 기자 win8226@)
(그래픽=신미영 기자 win8226@)

온라인 뱅킹의 확산으로 전반적인 금융소비자의 편의가 높아지고 있지만, 그림자도 있다. 시대의 흐름 속에 오프라인 영업점이 사라지면서 금융사각지대가 넓어진 것이다. 디지털 금융에 서툰 고령층은 자연스럽게 금융생활에서 소외될 수밖에 없다.

2일 본지가 금융감독원 금융통계정보시스템을 분석한 결과 지난해 12월 말 17개 시중· 지방·특수은행이 국내 지점, 출장소 기준 은행 점포 수는 5807개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6098개)보다 291개 줄어든 것이다. 영업점 수가 정점을 찍었던 2015년(7158개)보다는 1351개 감소했다.

금융당국이 고령층 및 금융소외계층의 불편을 이유로 2년 전부터 은행 폐쇄 절차를 강화했지만 사라지는 영업점을 막기는 역부족이다.

대부분은 소비자가 많이 사용하는 5대 시중은행이었다.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 등 5대 은행의 경우 2015년 5093개에서 지난해 3992개로 1101개나 감소했다. 2015년 이후 매년 평균적으로 160여 개의 점포가 문을 닫은 셈이다.

은행이 점포를 줄이는 이유는 내방 고객이 감소했기 때문이다. 은행 업무를 디지털로 바꾸고 점포를 줄이는 것은 우리나라만의 일은 아니다. 국제적으로 대부분 국가에서 인구당 점포 수가 감소하고 있다.

문제는 한국의 은행 점포가 애초부터 다른 국가보다 많지 않았다는 점이다. 2020년 기준 한국의 성인 10만 명당 상업은행 점포 수는 14.4개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18.3개, 유럽연합(EU) 20.9개에 한참 못미치는 수준이다.

금융당국은 점포 폐쇄가 지방에 거주하는 주민과 고령 고객 등을 금융사각지대로 내몰 것을 우려하고 있다.

당국은 점포 폐쇄 조건을 보다 까다롭게 관리할 방침이다.

이복현 금감원장은 지난달 30일 "최근 디지털 전환이라는 큰 흐름 속에서 은행이 고객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이나 영업채널에 변화가 있을 수밖에 없다고 생각한다"면서도 "복잡한 금융거래 특성상 여전히 소비자들의 대면 거래 수요가 있고 점포폐쇄가 지역사회나 고령층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다"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점포폐쇄 시 사전 영향평가 제도의 실효성을 높이는 등 급격한 점포폐쇄로 인한 소비자 불편이 최소화되도록 다양한 방안을 강구해 추진해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금융권 디지털전환이 가속화되면서 점포 폐쇄는 거스를 수 없는 현실"이라며 "다만, 노인 등 금융 취약계층의 불편을 덜어주기 위한 맞춤형 점포를 늘려 금융사각지대를 해소해 나가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키트루다·엔허투 잡은’ 알테오젠…다음 차례 글로벌 빅파마는?
  • 의대증원 첫 수능 수험생 52만명, ‘N수생’ 21년 만에 최다…변별력 ‘관건’
  • 연중 최저치 경신한 코스피, 금융당국이 쓸 수 있는 카드는 ‘이것’
  • '골때녀' 아나콘다 vs 국대패밀리, 3-1 승자는 누구?…방출팀 최종 확정
  • 한국 축구대표팀, 오늘 오후 11시 월드컵 3차예선 쿠웨이트전…중계 어디서?
  • 어떤 주담대 상품 금리가 가장 낮을까? ‘금융상품 한눈에’로 손쉽게 확인하자 [경제한줌]
  • 2025 수능 시험장 입실 전 체크리스트 [그래픽 스토리]
  • "최강야구 그 노래가 애니 OST?"…'어메이징 디지털 서커스'를 아시나요? [이슈크래커]
  • 오늘의 상승종목

  • 11.13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8,026,000
    • +1.3%
    • 이더리움
    • 4,544,000
    • -2.61%
    • 비트코인 캐시
    • 628,000
    • +1.13%
    • 리플
    • 977
    • -5.24%
    • 솔라나
    • 304,700
    • +0.26%
    • 에이다
    • 819
    • +0.12%
    • 이오스
    • 781
    • -5.56%
    • 트론
    • 255
    • -6.93%
    • 스텔라루멘
    • 175
    • -9.33%
    • 비트코인에스브이
    • 93,150
    • +10.76%
    • 체인링크
    • 19,060
    • -5.32%
    • 샌드박스
    • 402
    • -7.5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