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창용 총재는 21일 임시국회 기획재정위원회에 참석해 "고물가 고착을 막기 위해 기준금리를 긴축적 수준까지 인상했다"며 "물가 상승률이 점차 낮아지겠지만, 목표 수준(2%)을 상회하는 오름세가 연중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이 같은 통화정책 방향을 제시했다.
한은은 이날 발표 자료를 통해 앞으로 물가 오름세가 둔화 흐름을 이어갈 것으로 보이지만 불확실성은 상존한다고 밝혔다. △국제유가 추이 △공공요금 인상 △주요국 중앙은행의 정책대응 등이다.
국제유가(두바이유)는 지난해 말 배럴당 70달러대까지 하락했다가 최근 80달러를 웃도는 수준으로 반등했다. 중국 리오프닝 등의 영향으로 상방압력이 커지면서 물가에 상방리스크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
공공요금은 향후 인상폭 및 시기와 관련한 불확실성이 큰 가운데, 인상시 직접적인 물가 상승효과 외에 여타 상품 및 서비스 가격에 대한 2차 파급 영향이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
주요국 중앙은행의 통화긴축 속도 조절 등 정책대응 양상에 따라서도 향후 물가 흐름이 달라질 수 있다.
이 총재는 "올해도 계속적으로 물가안정에 중점을 두고 통화정책을 운용하되 대내외 금융·경제 여건의 불확실성이 매우 높은 만큼 보다 정교한 정책 대응이 필요하다고 판단하고 있다"고 밝혔다.
지난해 통화정책에 대해 그는 "높은 물가 오름세가 지속되고 미 연준 등 주요국 중앙은행의 가파른 금리인상으로 외환부문의 리스크도 증대됨에 따라 기준금리를 전례없이 빠르게 인상했다"고 밝혔다.
이어 "빠른 금리인상으로 국민들의 부담이 커진 것은 사실이지만, 이는 고물가 상황이 고착됨으로써 장기적으로 경제 전반에 더 큰 손실이 초래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한 불가피한 선택이었다는 점을 이해해 주시기 바란다"고 말했다.
기준금리 추가 인상 필요성에 대해서는 "그간의 금리 인상 파급효과와 인플레이션(물가 상승) 둔화 속도, 성장 하방 위험, 금융안정 측면의 리스크(위험), 주요국 통화정책 변화 등을 면밀히 점검하면서 판단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올해 경기 관련해서는 "국내 경기는 단기적으로 수출 부진, 소비 회복세 약화 등으로 작년보다 성장세가 둔화하겠지만 하반기로 갈수록 중국경제 회복, IT 경기 반등 등으로 점차 개선될 것"이라며 기존 '상저하고' 전망을 유지했다.
올해 주택시장은 높은 대출금리, 매매·전세가격 연쇄 하락 등으로 당분간 부진이 지속될 것으로 봤다. 다만 정부의 부동산 대책은 매수 심리의 급격한 위축을 막아 주택가격 하락 속도를 완화하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분석했다.
이 총재는 향후 불확실성에 대해 "미 연준 등 주요국 통화정책과 관련해서도 최종금리 수준과 지속기간 등에 대한 불확실성이 상당한 상황"이라며 "이에 더해 향후 중국경제 및 글로벌 IT경기의 회복 정도, 국내 부동산시장 위축 등은 앞으로의 경기흐름을 전망하는 데 있어 어려움을 가중시키고 있다"고 토로했다.
그는 "예기치 않은 금융·외환 시장 불안이 재발할 경우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정부, 감독당국과의 긴밀한 정책공조 하에 적기 대처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