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가 본격적으로 확산했던 2021년 취업자 10명 중 1명은 정부·공기업 등 공공부문에서 일자리를 얻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공공 일자리의 증가 폭은 지방정부 일자리의 증가 폭이 줄면서 2020년보다는 둔화했다. 공무원 일자리는 3만 개 넘게 늘면서 역대 최다치를 갈아치웠다.
통계청은 19일 발표한 '2021년 공공부문 일자리통계'에서 2021년 공공부문 일자리는 283만9000개로 전년보다 7만3000개(2.6%) 증가했다고 밝혔다. 이 가운데 일반정부 일자리(242만8000개)가 5만3000개(2.2%) 늘었고, 공기업 일자리(41만1000개)도 2만 개(5.2%) 증가했다.
총취업자 수 대비 공공부문 일자리 비율은 10.3%로, 전년 대비 0.1%포인트(p) 상승했다. 이는 관련 통계 작성이 시작된 2016년 이후 최고치다. 전체 일자리 대비 공공부문 일자리 비율은 11.1%로, 전년 대비 0.1%p 하락했다.
다만, 2021년 공공부문 일자리의 증가 폭은 2020년(6.3%)보다는 줄었다. 지방정부의 일자리 증가 폭이 둔화한 영향이다. 일반정부 일자리 중 중앙정부 일자리는 2만4000개(2.8%) 증가했고, 지방정부 일자리는 3만 개(2.0%) 늘었다. 중앙정부 일자리는 2020년(2만7000개)과 증가 폭이 비슷했지만, 지방정부는 2020년(12만5000개)보다 큰 폭으로 둔화했다.
연령별로 보면, 모든 연령에서 공공부문 일자리가 늘어난 가운데 50대에서 2만4000개(3.7%) 증가하며 가장 큰 증가 폭을 기록했다. 40대(1만6000개), 30대(1만4000개), 그리고 29세 이하(1만3000개)에서도 증가 폭이 컸지만, 60세 이상 고령층의 일자리는 6000개 늘어나는 데 그쳤다. 앞서 2020년에는 60세 이상 일자리가 4만6000개 늘어 통계 작성 이래 가장 큰 폭으로 증가한 바 있다.
60세 이상 공공 일자리의 증가 폭이 감소한 것은 지방정부의 일자리 증가세가 둔화한 영향도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차진숙 통계청 행정통계과장은 "일자리 증가 폭이 줄어든 지방정부 일자리 사업은 주로 취약계층 관련한 지원 사업들이 많다"며 "취약계층 관련한 공공 일자리들은 주로 60세 이상이 많은데, 관련 사업들이 축소되다 보니까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산업별로는 2021년부터 대면 수업이 재개된 영향으로 교육서비스업 관련 일자리가 3만 개 늘면서 가장 큰 증가 폭을 기록했고,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1만6000개),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1만 개) 등이 뒤를 이었다.
우리나라 정부 기관 일자리 216만8000개 중 공무원 일자리는 142만8000개로 비공무원(74만 개)의 1.9배 수준이었다. 최근 지속해서 증가하고 있는 공무원 일자리는 2021년에도 전년 대비 3만4000개(2.5%) 늘면서 역대 최대치를 갈아치웠다.
비공무원 일자리는 7000개(1.0%) 증가하는 데 그쳤다. 공무원의 경우 같은 사람이 일자리를 점유한 지속 일자리 비중이 95.7%로 대부분을 차지했고, 근속 기간 10년 이상인 사람이 전체의 58.4%에 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