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일 금융권에 따르면 5대 시중은행(국민·신한·우리·하나·NH)의 이날 기준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상단이 7% 중반까지 올랐다. 주담대 변동금리는 5.18~7.614%로, 혼합형은 5.55~7.279%를 기록 중이다.
연말 금리는 주택담보대출이 8%, 신용대출이 9% 수준으로 전망되고 있다. 주담대 금리가 8%를 넘어서는 건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약 14년 만이다.
전날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3연속 '자이언트 스텝'(기준금리 0.75%p 인상)을 단행하면서 우리나라의 기준금리도 추가로 인상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오는 24일 올해 마지막 통화정책 방향 결정 회의를 연다. 한국은행이 지난달에 이어 이달 24일에도 한 번 더 '빅스텝'(기준금리를 한 번에 0.5%p 인상)을 단행할 경우 기준금리는 3.00%에서 3.50%까지 오른다.
문제는 내년 미국이 추가로 금리를 올릴 경우다. 내년 미국의 금리 상단 5.0%가 현실화되고 한은이 기준금리를 추가로 올려 4.0%에 도달할경우 주담대는 9~10%까지도 오를 수 있다는 전망까지 나온다.
현재 주택담보대출과 전세자금대출 금리 상단은 이미 7% 중반까지 진입했다. 신용대출 최고금리는 8%를 넘어섰다. 신용 등급에 따라 최고 연 12%의 이자를 요구하는 마이너스 통장까지 등장하고 있는 상황이다.
금리가 오를 경우 대출자들의 이자 부담이 더 커질 것으로 보인다.
예컨대 5억 원의 주담대를 40년 만기, 원리금균등상환 방식으로 빌렸을 경우 금리 3%였을 때는 월 원리금이 약 179만 원이다. 금리가 7%로 오르면 월 원리금은 약 311만 원, 9%에 이르면 약 386만 원까지 증가한다.
특히 우리나라는 코로나19 이후 제로금리 기조로 변동금리 비중이 전체 가계대출의 70%를 훌쩍 넘는다. 한국의 대출자 10명 중 7명이 금리인상에 따른 이자 부담에 그대로 노출되고 있는 것이다. 한은에 따르면 올해 9월 기준 가계대출 중 변동금리 대출 비중은 78.5%다.
한은은 기준금리가 1%포인트(p) 오르면 가계 이자부담이 34조 원 급증하는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기준금리가 올 초 1.0%에서 3.0%까지 2%p 오르는 동안 산술적으로 이자만 68조 원이 늘어난 셈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미국과의 기준금리 격차를 좁히기 위해 한국의 기준금리 인상이 불가피한 상황"이라면서 "기준금리 인상 시그널이 강해지면 주담대 금리를 결정하는 코픽스가 오르게 되고 결국 대출금리 상승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연말 주담대 금리가 8%까지 오르고, 내년에는 두 자릿수까지 진입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