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소 사육 방식 혁신에 나섰다. 한우 키우는 기간을 6개월 단축해 온실가스 배출량과 사료비를 각각 25%, 100만 원 줄이겠단 계획이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올해 6월 ‘소 사육방식 개선 시범사업’에 착수했다. ‘탄소중립 시대, 한우산업의 새로운 도약’을 목표로 효율적인 한우 사육 방식을 개발하겠단 구상이다.
한우 사육 기간은 2000년 23개월에서 2010년 28개월, 2022년 30개월로 증가추세다. 이처럼 그간 소 사육방식은 생산측면에서 품질 제고 등을 위해 사육기간 장기화 및 곡물사료 의존도 심화 등의 고투입·장기사육 구조가 고착화됐다. 이 같은 생산비 증가는 소고기 가격 상승 요인으로 작용한다.
또 환경측면에서는 장기 사육방식 등으로 인해 분뇨 및 온실가스 발생량이 증가함에 따라 환경부하 가중이 심화하는 등 장기적으로 사회적 후생과 국내 소 산업의 경쟁력이 저하되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실제로 온실가스 배출은 한우 사육기간에 정비례하며 증가했다. 축산분야 온실가스 배출량은 2011년 860만 톤(CO2eq)에서 2017년 860만 톤이며 2030년엔 1100만 톤, 2050년엔 1160만 톤으로 증가가 예상된다.
이런 이유에서 농림식품부가 소 사육방식 개선 시범사업에 나선 것이다. 우선 가축시장 등에서 거래되는 6개월령 송아지 600마리 대상 유전능력 평가 등을 통해 유전능력별(육질형·육량형)로 구분한다. 유전형질별로 각각 24~30개월령 사육기간에 맞춰 송아지를 배치하고 사육한다. △유전능력 맞춤형 사양관리 프로그램 개발 △단계별 탄소배출 측정 조사 △송아지 유전능력 평가시스템 개발·고도화 △단계별 품질수준 조사 등을 진행해 한우 사유빙식을 혁신하겠단 전략이다.
이를 통해 한우 사육기간을 기존 30개월에서 24개월로 줄이겠단 목표고 이럴 경우 마리당 온실가스 배출량은 25% 줄고, 사료비도 약 100만 원 절감될 것으로 예상된다.
농림식품부는 시범사업을 통해 도출한 사육 방식을 2025년부터 농가에 보급하겠단 계획이다.
박범수 농식품부 차관보는 “소 사육방식 개선 시범사업이 한수산업의 도전과제를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국내 소 산업이 새롭게 도약할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라며 “앞으로도 생산자, 소비자, 학계 및 관계기관 등과 적극 협력해 시범사업이 성공적으로 추진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