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 거리두기 해제로 숙박ㆍ음식점 등 대면서비스업 경기가 코로나19 사태 이전 수준으로 회복해 민간 소비가 개선 흐름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가파른 물가 상승과 금리 인상 등 변수가 있어 개선세가 계속될지는 불투명하다.
12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올해 7월 숙박 및 음식점업 생산 지수는 불변지수 기준 108.1(2015년=100)로 1년 전보다 29.9% 상승했다.
서비스업 생산 지수는 개별 사업체의 매출액 등에 기반해 산출된 지표로 불변지수는 물가 영향을 제거한 실질적인 생산 수준을 보여준다.
숙박 및 음식점업 생산 지수는 7월 기준으로 2019년 수준(99.5)을 넘어섰다. 숙박·음식점업의 실질 경기가 코로나19 이전 수준을 회복한 셈이다. 세부적으로 보면 숙박업 지수가 108.6, 음식점 및 주점업 지수는 108.0으로 각각 2019년 7월 수준(숙박업 101.7·음식점 및 주점업 99.1)을 넘어섰다.
숙박 및 음식점은 코로나19로 타격을 받은 대표적인 업종이다. 코로나19 확산이 시작된 2020년 1월부터 전년 동월 대비 기준으로 하락하기 시작해 2021년 2월까지 14개월 연속 하락세를 보였다.
지난해 9월에 들어 본격적으로 오르기 시작해 올해 7월까지 11개월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다. 이는 작년부터 본격화한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가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또 다른 대면서비스 업종인 예술·스포츠 및 여가 관련 서비스업 지수는 105.6으로 역시 2019년 7월 수준(105.5)을 소폭 웃돌았다.
이러한 대면서비스업 회복세는 소매판매 감소에도 불구하고 전체 민간 소비가 개선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통계청은 소매판매가 재화 소비만을 산출한 지표이고 숙박·음식점업, 예술·스포츠·여가 등 대표적인 소비자 서비스업 지수가 호조인 점을 고려했을 때 전체 소비는 개선세를 이어가는 것으로 평가했다.
다만 대면서비스업을 비롯해 전체 소비가 개선세를 계속 이어갈지는 불투명하다. 소비자물가가 당분간 5∼6%대의 고물가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돼서다. 고물가는 가계의 지출부담을 높여 소비에 악영향 준다.
고물가를 억제하기 위한 기준 금리 인상도 소비 개선의 제약 요인이다. 기준 금리와 연동되는 대출 금리 상승으로 가계 부채가 확대돼 소비 여력이 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현재 대외 여건 악화로 수출과 투자가 부진할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에서 민간 소비마저 둔화할 경우 한국 경제의 하방 위험은 커질 수 있다.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실장은 "그간 성장 경로 등을 봤을 때 올해 성장률은 2%대 중반을 달성할 수 있다"면서도 "수출 등의 경기가 급격히 하락하면 소득이 늘지 않게 돼 4분기부터 본격적으로 소비가 위축될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