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오롱인더, ‘H2 MEET 2022’ 참가…첨단 수소기술 소개

입력 2022-08-31 13:33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코오롱인더스트리가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H2 MEET 2022에 참가해 관람객을 맞이하고 있다. (사진제공=코오롱인더스트리)
▲코오롱인더스트리가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H2 MEET 2022에 참가해 관람객을 맞이하고 있다. (사진제공=코오롱인더스트리)

코오롱인더스트리는 31일부터 9월 3일까지 일산 킨텍스에서 열리는 ‘H2 MEET 2022’에 참여한다고 31일 밝혔다.

코오롱인더스트리는 수소 소재ㆍ부품 기술력을 바탕으로 계열사 간 협업을 통해 수소 발전사업을 추진해 2040년까지 국내 사업장 기준 ‘넷제로(Net Zero) 2040’을 달성한다고 공표한 바 있다.

코오롱인더스트리는 2006년부터 본격적으로 수소연료전지 분야 연구에 박차를 가해왔다. 국내 최초로 수소차 핵심 부품인 수분제어장치 양산 체제를 갖추고 현대차에 공급 중이며 모빌리티 분야에 이어 산업용으로도 확대를 모색 중이다.

2020년부터는 수소차용 연료전지 핵심소재인 PEM(고분자전해질막)을 양산하고 있다. 이 기술을 바탕으로 MEA(막전극접합체)생산 기반도 갖추고 있는 등 핵심 부품과 수소산업 인프라와 역량을 갖췄다.

‘넷제로 2040’ 추진을 위한 대외 협력체계도 구축하고 있다.

지난 7월에는 덕양과 연료전지발전 사업에 필수적인 수소공급 및 풍력발전을 이용한 그린수소와 블루수소 생산 관련 협력기반 구축을 위한 MOU를 체결했다. 이스라엘 기업인 에어로베이션과는 00월에 탄소 포집 및 활용 기술(CCU)을 확보, 자체 기술 역량을 더해 넷제로 솔루션을 개발하고자 MOU를 각각 체결해 신규 사업화를 추진하고 있다.

향후 코오롱인더스트리는 수소 기술의 집약체인 수소연료전지 발전소를 자사 국내 사업장에 건설해나갈 예정이다. 이미 상용화된 코오롱인더스트리의 고분자전해질막인 PEM을 적용한 PEMFC(고분자전해질 연료전지) 기반의 연료전지 발전소가 만들어지면 수소 기반의 전력생산이 가능해져 국내 사업장 탄소배출 제로 목표 달성도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장희구 코오롱인더스트리 사장은 “수소 사업 관련 코오롱의 30년 노하우를 바탕으로 관련 핵심 기술력을 보유한 외부 기업과도 적극 공조하고 있다”라며 “지속 가능한 기술 창조자로서의 면모를 더욱 확고히 할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20년 째 공회전' 허울 뿐인 아시아 금융허브의 꿈 [외국 금융사 脫코리아]
  • 단독 "한 번 뗄 때마다 수 백만원 수령 가능" 가짜 용종 보험사기 기승
  • 8만 달러 터치한 비트코인, 연내 '10만 달러'도 넘보나 [Bit코인]
  • '11월 11일 빼빼로데이', 빼빼로 과자 선물 유래는?
  • 환자복도 없던 우즈베크에 ‘한국식 병원’ 우뚝…“사람 살리는 병원” [르포]
  • 100일 넘긴 배달앱 수수료 합의, 오늘이 최대 분수령
  • '누누티비'ㆍ'티비위키'ㆍ'오케이툰' 운영자 검거 성공
  • 수능 D-3 문답지 배부 시작...전국 85개 시험지구로
  • 오늘의 상승종목

  • 11.11 11:50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13,576,000
    • +5.75%
    • 이더리움
    • 4,469,000
    • +2.43%
    • 비트코인 캐시
    • 624,500
    • +11.02%
    • 리플
    • 831
    • +4.53%
    • 솔라나
    • 293,000
    • +3.53%
    • 에이다
    • 837
    • +15.93%
    • 이오스
    • 815
    • +18.46%
    • 트론
    • 232
    • +3.57%
    • 스텔라루멘
    • 154
    • +6.94%
    • 비트코인에스브이
    • 86,200
    • +12.09%
    • 체인링크
    • 20,280
    • +4.7%
    • 샌드박스
    • 423
    • +10.7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