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기대인플레 상승, 국내 중·단기금리 상방 압력 작용

입력 2022-07-28 12: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미국 기대인플레이션 1%포인트(p) 상승하면, 장단기 금리차 최대 0.6%p 축소

(한국은행 보고서)
(한국은행 보고서)
최근과 같은 높은 인플레이션기의 미국 기대인플레이션 상승은 국내 중·단기금리에 상당한 상방 압력으로 작용할 것이란 분석이 나왔다.

한국은행은 28일 ‘미국 인플레이션 국면별 기대인플레이션과 기간프리미엄이 국내 수익률곡선에 미치는 비대칭적 영향’ 조사통계월보 논고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한은의 연구에 따르면 미국 기대인플레이션이 1%포인트(p) 상승하면, 장단기 금리차는 최대 0.6%p 축소됐다. 한은은 “고인플레이션기에 미국 기대인플레이션 충격은 단기 수익률에 큰 영향을 주는 반면, 장기 수익률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못해 장단기 금리차가 축소되는 수익률곡선 평탄화를 유발했다”고 설명했다.

또 고인플레이션기에 글로벌 물가 충격으로 미국 기대인플레이션이 급격하게 상승하면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긴축적 통화정책 기대가 형성되거나, 글로벌 물가충격의 영향으로 국내 기대인플레이션도 상승한다. 이에 따라 국내에서도 금리인상 기대가 형성되면서 명목 기대단기금리가 오른다고 한은은 분석했다.

반면, 저인플레이션기일 때 기간프리미엄 충격은 만기가 길어질수록 그 영향력이 커져 수익률곡선을 가파르게 만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기간 프리미엄이 1%p 상승 하면 장단기 금리차는 최대 0.5%p 확대된다.

저인플레이션기는 미 연준의 양적완화, 테이퍼링 및 양적긴축이 시행됐던 시기와 겹친다. 한은은 이 기간 동안 미국 기간프리미엄의 영향이 큰 것은 글로벌 유동성 증감에 따른 외국인 채권자금 유출입 등에도 영향받았을 가능성이 있다고 봤다.

한은은 “최근과 같은 고인플레이션기에 미국 기대인플레이션 상승은 국내 중·단기금리에 상당한 상방 압력으로 작용할 것”이라며 “이에 더해 원자재가격 상승 등의 글로벌 충격도 국내 기대인플레이션 상승에 영향을 미치는 상황임을 고려할 때 국내 물가안정 달성을 위해서는 인플레이션 기대 관리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한은은 지난해 8월에 기준금리 인상을 시작하는 등 다른 나라에 비해 선제적으로 대응했으나 물가상승 압력이 심화되고 있어 시장참가자들의 기대 관리가 한층 중요해진 상황이다.

한은은 이어 “올해 6월부터 실시된 미 연준의 양적긴축은 과거보다 그 속도가 빠르고 금리인상과 동시에 진행되는 점 등을 고려할 때 그 영향을 예단할 수 없다”며 “국내 시장금리에 미칠 영향에 대해서 면밀한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어떤 주담대 상품 금리가 가장 낮을까? ‘금융상품 한눈에’로 손쉽게 확인하자 [경제한줌]
  • 2025 수능 시험장 입실 전 체크리스트 [그래픽 스토리]
  • "최강야구 그 노래가 애니 OST?"…'어메이징 디지털 서커스'를 아시나요? [이슈크래커]
  • 삼성전자, 4년 5개월 만 최저가...‘5만 전자’ 위태
  • 고려아연, 유상증자 자진 철회…"신뢰 회복 위한 최선의 방안"
  • 재건축 추진만 28년째… 은마는 언제 달릴 수 있나
  • 법원, 이재명 ‘공직선거법 1심’ 선고 생중계 불허…“관련 법익 종합적 고려”
  • ‘음주 뺑소니’ 김호중 1심 징역 2년 6개월…“죄질 불량·무책임”
  • 오늘의 상승종목

  • 11.13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4,349,000
    • -0.06%
    • 이더리움
    • 4,513,000
    • -4.04%
    • 비트코인 캐시
    • 587,000
    • -6.23%
    • 리플
    • 951
    • +4.74%
    • 솔라나
    • 295,800
    • -2.76%
    • 에이다
    • 766
    • -8.15%
    • 이오스
    • 773
    • -2.15%
    • 트론
    • 250
    • +0.81%
    • 스텔라루멘
    • 178
    • +4.09%
    • 비트코인에스브이
    • 77,750
    • -8.04%
    • 체인링크
    • 19,150
    • -5.8%
    • 샌드박스
    • 400
    • -5.8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