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 쪽과 형제자매 쪽 모두 위암 가족력이 있는 사람의 위암 발병 확률이 가족력 없는 사람 대비 2.26배에 이른다는 국내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번 연구는 대규모 인구집단을 놓고 위암의 가족력과 발병 위험의 상관관계를 추적한 국내 최초의 연구다.
이대목동병원(소화기내과 문창모)·한양대병원(예방의학과 박보영)·강북삼성병원(소화기내과 정윤숙) 공동 연구팀은 2013∼2014년 전국에서 위암 검진을 받은 40세 이상 448만3605명을 대상으로 약 5년에 걸쳐 위암 발병 여부를 추적 분석한 결과, 이런 특징이 관찰됐다고 8일 밝혔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흔한 암이 바로 위암이며, 위암 발생률이 세계 주요국 중 가장 높은 곳이 한국이다. 우리나라에서 매년 새로 진단되는 위암 환자의 수는 약 3만 명이다.
우리나라에서 위암 환자가 많이 발생하는 이유로는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의 높은 감염률과 짠 음식, 탄 음식을 좋아하는 식습관 등이 꼽힌다.
여기에 더해 가족력도 위암 발생에 중요 요인으로 지목돼 왔으나, 이에 대해서는 국내 대규모 인구집단을 대상으로 한 연구 결과가 그간 없었던 탓에 위험도를 정량적으로 평가하기가 어려웠다.
연구팀은 분석 대상자를 부모와 형제자매 중 위암 가족력이 있는 89만6721명과 가족력이 없는 358만6884명으로 나눠 위암과 위 선종(위암 전단계) 발생 양상을 분석했다.
이 결과 위암 가족력이 있는 그룹에서는 관찰 기간 중 위암과 위 선종 발생률이 각각 0.96%, 0.46%로 집계됐다. 반면 위암 가족력이 없는 그룹에서는 이런 비율이 각각 0.65%, 0.32%로 현격히 낮았다.
연구팀은 부모나 형제자매 중 위암 발병 가족력이 있는 사람은, 가족력 없는 사람에 대비해 위암과 위 선종 위험도가 각각 1.48배, 1.44배로 높아지는 것으로 추산했다.
부모 쪽 가족력(부모 중 한 명 이상이 위암)이 있는 사람은 1.40배로, 형제자매 쪽 가족력(형제자매 중 한 명 이상이 위암)이 있는 사람은 1.59배로 각각 위암 위험도가 높아졌다. 이는 가족력이 없는 사람에 대비해 비교한 것이다.
그리고 부모 쪽 가족력과 형제자매 쪽 가족력이 둘 다 있는 경우에는 위험도가 2.26배로 치솟는 것으로 분석됐다.
위 선종 위험도도 부모 쪽 가족력과 형제자매 쪽 가족력 둘 다 있는 경우에는 2.19배로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이번 결과가 유전적 이유에서인지, 동거함으로써 식습관이 비슷해진 영향인 지는 밝혀지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우리나라는 25명 중 1명이 암환자일 정도로 암 발생률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보건복지부와 중앙암등록본부(국립암센터)가 국가암등록통계사업을 통해 수집한 우리나라 2019년 국가암등록통계를 보면 신규 발생한 암환자 수는 25만4718명이다. 성별로는 남자 13만4180명, 여자 12만538명이다. 직전연도(24만5874명) 대비 8844명(3.6%)이 늘었다.
1999년 이후 암으로 확진을 받아 치료중이거나 완치된 사람은 약 215만명이다. 국민 25명 중 1명이 암 유병자라는 의미다. 65세 이상에서는 8명 당 1명이 암 유병자였다. 남자는 6명 당 1명, 여자는 10명 당 1명이다.
암 종류별로는 갑상선암 환자가 3만676명(21.5%)으로 가장 많다. 이어 폐암(2만9960명), 위암(2만9493명), 대장암(2만9030명), 유방암(2만4933명), 전립선암(1만6803명), 간암(1만5605명) 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