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세기 통일신라 시대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금박유물이 언론에 공개됐다. 해당 금박유물은 우리나라에서 확인된 유물 가운데 가장 정교한 세공술을 보여준다는 평가다. 금속 공예를 넘어 당시 신라인의 뛰어난 회화적 감각도 엿볼 수 있다.
16일 문화재청 소속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는 서울 종로구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선각 단화 쌍조문 금박 공개 기자간담회'를 열고 이같이 밝혔다. 공개된 유물은 2016년 11월에 동궁과 월지 ‘나’지구 북편 발굴 조사 중 발견됐다. 발굴 후 보존 처리와 용도 파악 등 관련 연구에만 5년 이상 걸렸다.
이날 기자간담회에 참석한 어창선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연구관은 “출토 당시 금박이 완전히 구겨진 상태로 발견됐다. 또 출토된 유물이 온전한 형태가 아니라 두 점이 20m가량 서로 떨어진 채 출토됐다”며 “구겨진 부분을 펴고, 접합하는 데 반년이 넘게 걸렸다. 지금까지 출토 사례가 없어 용도 파악도 어려워 발굴 후 이렇게 공개하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렸다”고 말했다.
선각(線刻)이란 가는 철필 등으로 문양을 새기는 것을 말한다. 단화(團華)란 꽃을 위에서 본 형태를 연상시키는 무늬로 상상의 꽃이며, 쌍조(雙鵰)는 두 마리의 새라는 뜻이다. 즉, 이번에 출토된 ‘선각 단화 쌍조문 금박’은 금박에 새겨진 상상의 꽃과 두 마리의 새 문양이 새겨진 유물이다.
단화는 통일신라 시대를 대표하는 문양이다. 경주 구황동 원지 출토 금동경통장식, 황룡사 서편 폐사지 출토 금동제 봉황장식 등에서도 확인된다.
김경열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연구사는 “출토된 금박은 불순물이 거의 없는 순금에 가까운 것으로 파악된다. 또 사람 머리카락 굵기가 0.08mm 정도 되는데 그것보다도 얇은 0.05mm 이하 굵기의 선이 금박 안에 빼곡하게 새겨져 있다”며 “통일신라 시대의 정련 및 세공 기술 수준을 파악할 수 있는 귀중한 유물”이라고 말했다.
금박에 등장하는 새는 전문가 자문 결과 ‘멧비둘기’로 추정된다. 멧비둘기는 한반도 전역에 발견되는 텃새다.
금박 용도는 종교적인 목적으로 추정된다는 게 김 연구사의 설명이다. 그는 “장식의 기능을 하려면 화려하게 과시하거나 잘 볼 수 있게 만들어야 하는데, 이 경우 육안으로는 거의 형태를 알아볼 수 없는 문양이 금박에 새겨져 있다. 장식 용도보다는 종교적이고 비현실적인 이상향을 위한 제의적 도구로 만들어졌을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오늘 언론에 공개된 금박유물은 내일부터 10월 31일까지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천존고에서 ‘3cm에 담긴, 금빛 화조도’ 특별 전시를 통해 일반에 공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