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은 24일 공개한 ‘2022년 3월 금융안정 상황’ 보고서에서 작년 말 현재 금융부채를 보유한 자영업 가구 중 적자 가구는 약 78만 가구(전체 자영업 가구의 16.7%)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이들 적자 가구가 보유한 금융부채는 177조 원(전체 자영업 가구 금융부채의 36.2%) 수준이다.
한은은 자영업자 매출은 2020년 중 대폭 감소했다가 2021년 이후 점차 회복되고 있지만, 소상공인 매출 회복은 더딘 모습이라고 밝혔다. 이러한 상황에서 금융권의 자영업자 대출은 코로나19 발생 이후 연 10% 이상의 높은 증가세를 지속 중이다.
업종별로 보면 코로나19 이후 적자 가구는 주로 도소매, 숙박음식 등 대면 서비스업종에서 증가했다. 금융부채는 대부분 업종에서 증가한 가운데 부동산 업종이 상대적으로 크게 늘었다. 차입을 통한 부동산 투자 확대, 공실률 증가 등에 따른 수지 악화 등에 주로 기인한다는 게 한은 분석이다.
작년 말 현재 적자 가구(78만 가구) 중 적자 감내 기간이 1년 미만인 유동성 위험 가구는 27만 가구로 추정된다. 유동성 위험 가구 증가 폭(1만 가구)은 적자 가구 증가 폭(8만 가구)에 비해 제한된 것으로 한은은 평가했다. 금융지원 조치 및 불확실성에 대비한 차입 증가 등의 영향으로 유동 금융자산이 증가한 영향이다.
반면 이들 가구의 금융부채 규모는 72조 원(자영업 가구 보유 금융부채의 14.6%) 수준이다. 차입 확대로 인해 2020년 3월 말(59조 원) 대비 13조 원 늘었다.
업종별로 보면 유동성 위험 가구가 2021년 들어 도소매 및 운수업 등에서는 줄어드는 모습이나 오미크론 확산으로 매출 회복세가 상대적으로 더딘 숙박음식업 및 교육 등에서는 증가했다.
향후 1년간을 보면, 적자 가구 및 유동성 위험 가구의 금융부채 규모는 정부 금융지원정책 종료 여부에 상대적으로 더 크게 영향받을 것으로 추정된다.
일괄 연장될 경우, 올해 적자 가구 금융부채는 2021년 말 177조 원에서 1조 원 줄어들거나 많게는 18조 원 늘어날 전망이다. 유동성 위험 가구 금융부채는 72조 원에서 1조~10조 원 늘어날 것으로 관측됐다. 반면 일괄종료 시에는 적자 가구 금융부채는 39조~58조 원, 유동성 위험 가구 금융부채는 31조~41조 원 급증할 것으로 한은은 분석했다.
한은은 “코로나19 금융지원정책이 매출 부진 자영업자의 유동성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라며 “업권별 업황 및 유동성 상황을 고려하면서 단계적 출구전략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또 “자영업자 대출의 신용위험이 빠르게 늘어날 가능성이 있는 만큼, 금융기관은 대손충당금 적립 확대 등을 통해 부실 가능성에 선제적으로 대비할 필요가 있다”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