웃는 얼굴에 침 못 뱉는다. 아는 얼굴에는 더더욱 그렇다. 가상자산 업계는 이 믿음을 신봉하는 것처럼 보인다. 지난해 가상자산 거래소와 블록체인 업계는 앞다퉈 대관(CRㆍCorporate Relation) 조직을 강화했다. 규제 리스크를 해소하고 금융당국의 의중을 파악하기 위함이라는 설명과 함께였다.
자연스레 업계의 눈길은 금융당국과 국회로 향했다. 첫 물꼬는 업비트였다. 금융감독원 핀테크현장지원자문역을 지낸 부국장이 업비트 투자자보호센터로 향했다. 업계 1위가 나선 이후 다른 거래소들도 발 빠르게 움직였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직원을 비롯해 박영선ㆍ유경준ㆍ안병길 의원실 출신 보좌관들이 거래소로 향했다. 특히 금융위원회 출신 사무관이 업계 행을 택하면서 대내외에 충격을 안기기도 했다.
대관은 실제로 먹힐까. 이에 대한 업계와 금융당국의 시각은 극명하게 갈렸다. 한 가상자산 거래소 관계자는 "얼굴 한 번 더 보인다는 것 자체가 투자"라며 "아무래도 얼굴 한 번 더 본 사람한테 뭐라도 더 가는 게 인지상정이고, 가만히 있는데 누가 그 사람 얘기를 들어주겠나"라고 설명했다. 자연스레 대관을 강화하지 않으면 앉은 자리에서 바보가 되는 것 같다며, 모든 거래소가 대관을 강화하는 데 손을 놓고 있을 수 없다는 토로가 이어졌다.
기자와 사석에서 만난 한 금융당국 관계자는 관련 질문에 곧바로 정색했다. 그렇게 업계로 간 대관 담당자가 1년 뒤에도 자리를 보전하고 있을지 지켜보라는 일갈과 함께였다. 그는 "(업계로 향한 금융당국 관계자가) 법령 해석에 대한 도움은 줄 수 있지만, 당국이 허가할 수 없는 것을 허가하게 만드는 게 현실적으로 가능하겠냐"라며 "업계 요구 수준을 맞추지 못하는데 자리만 차지하고 있다가는 쫓겨나기 십상일 것"이라고 지적했다.
간극만큼 오해도 피어올랐다. 대관에 대한 확고한 믿음이 있지만, 규제가 불명확해서다. 종합검사를 어느 거래소부터 나갈지, 거래소에 대한 실명계좌 신규발급이 가능할지, 트래블룰에 대한 해석은 어떻게 해야 할지 등등. 금융당국이 내리는 모든 판단에 대관이 개입했으리란 의심이 끼어들고 있다. 이렇게 업계와 금융당국의 서로에 대한 불신만 깊어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