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 안 그래도 최저인데 또 떨어진 출산율…인구는 2년째 자연감소

입력 2022-02-23 14:4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통계청 '2021년 출생·사망통계(잠정)'…합계출산율 0.81명…코로나19 유행에 사망자만 늘어

▲출생아 수 및 합계출산율 추이, 1970-2021p. (자료=통계청)
▲출생아 수 및 합계출산율 추이, 1970-2021p. (자료=통계청)

지난해 합계출산율이 0.81명으로 역대 최저치를 갈아치웠다. 반면, 사망자는 역대 최대를 기록하며 인구 자연증가는 2년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저출산·고령화 추세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충격으로 인구 절벽이 가팔라지고 있다.

◇출생아 4.3%, 출산율 0.03명↓

통계청은 23일 발표한 ‘2021년 출생·사망통계(잠정)’에서 지난해 출생아 수가 260만500명으로 전년(27만2337명)보다 1만1837명(4.3%) 줄었다고 밝혔다. 인구 1000명당 출생률(조출생률)은 5.1명으로 0.2명, 합계출산율은 0.81명으로 0.03명 각각 감소했다. 시·도별로는 세종과 전남을 제외한 모든 시·도에서 합계출산율이 1명을 밑돌았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합계출산율이 0명대인 국가는 한국이 유일하다. 2019년 기준 회원국 평균치는 1.61명이다.

모(母) 연령대별로 출산율은 주된 출산연령인 30~34세에서 76.0명으로 2.9명, 25~29세는 27.5명으로 3.1명 각각 감소했다. 반면, 30~39세는 43.5명으로 1.2명, 40~44세는 7.6명으로 0.5명 각각 증가했다. 모의 평균 출산연령도 33.4세로 0.2세 늘었다. 결혼생활 기간별로는 2년 내 출산 비중이 31.8%로 전년보다 2.1%포인트(P) 낮아졌다.

사회 전반적인 비혼·만혼 추세로 혼인 연령은 물론 혼인 후 출산 시기도 늦어지고 있다. 노형준 통계청 인구동향과장은 이날 브리핑에서 “출생아 수 감소에는 30대 여성 인구 감소와 최근 10년간 누적된 혼인 건수 감소가 영향을 미쳤다고 본다”며 “최근에는 유배우 인구가 줄고, 미혼 여성이 증가한 게 출생아 수 감소의 원인이 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혼인 건수는 19만2509건으로, 전년(21만3502건)보다 2만999건(9.8%) 줄었다.

◇인구 자연증가 2년째 ‘마이너스’

(자료=통계청)
(자료=통계청)

사망자는 31만7800명으로 1만2800명 늘어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출생아 수에서 사망자 수를 뺀 자연증가는 -5만7280명으로 2년 연속 마이너스다.

사망자 수 증가에는 코로나19 유행도 일정 부분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분석됐다. 통계청이 작성한 ‘코로나19 시기 초과사망 분석(2022년 2월 11일 기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28일부터 올해 1월 1일까지 사망자 수는 3만4954명으로 과거 3년간 동기보다 14.5% 증가했다. 전년 동기 대비로는 16.3% 늘었다. 노 과장은 “코로나19 환자와 일반 환자의 사망원인에 대해서는 9월 확정해 말할 수 있을 것”이라면서도 “11~12월, 작년 전체로 봐도 다른 해보다 사망자 수가 조금 더 많이 증가한 것은 사실”이라고 말했다.

◇올해 출산율 ‘일시적 반등’ 가능성

30대 초반 인구의 증가와 코로나19 유행 이후 연기·취소됐던 혼인·출산의 재개로 일시적으로 혼인·출산이 회복될 가능성도 있다. 노 과장은 특히 “출생아 수가 70만 명대로 회복됐을 때 연령대인 1991~1995년생이 30대에 진입하면, 출생아 수에 긍정적인 요인이 될 순 있다”고 설명했다. 1991~1995년생은 베이비부머의 자녀세대인 ‘에코세대(1979~1992년생)’의 막내다.

다만, 에코세대 이후 가임여성 감소와 추세적인 비혼·만혼 등으로 올해 반등이 있더라도 장기적인 추세로 이어지긴 어렵다. 노 과장은 “전반적으로 주 출산인구가 감소하고 특히 혼인 건수는 2016년부터 최근 2년 동안 계속 큰 폭으로 감소해왔기 때문에 전체 출생아 수는 증가할 거라고는 전망하기는 어려울 것 같다”고 말했다. 앞서 통계청은 장래인구추계에서 합계출산율이 2024년 0.70명까지 감소한 뒤 점진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전문가들의 견해도 크게 다르지 않다. 정창률 단국대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아이를 낳는 건 개인에게 굉장히 큰 결정이다. 그런데 합리적인 사람들에게 아이는 엄청난 사치재가 됐다”며 “돈이 없으면 아이를 못 키우고, 돈 없는데 아이를 낳으면 죄인이 되는 사회를 바꾸지 않으면 일시적으로 반등할 요인들이 있다고 해도 추세 자체가 달라지진 않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긁어 부스럼 만든 발언?…‘티아라 왕따설’ 다시 뜨거워진 이유 [해시태그]
  • 잠자던 내 카드 포인트, ‘어카운트인포’로 쉽게 조회하고 현금화까지 [경제한줌]
  • 단독 "한 번 뗄 때마다 수 백만원 수령 가능" 가짜 용종 보험사기 기승
  • 8만 달러 터치한 비트코인, 연내 '10만 달러'도 넘보나 [Bit코인]
  • 말라가는 국내 증시…개인ㆍ외인 자금 이탈에 속수무책
  • 환자복도 없던 우즈베크에 ‘한국식 병원’ 우뚝…“사람 살리는 병원” [르포]
  • 트럼프 시대 기대감 걷어내니...高환율·관세에 기업들 ‘벌벌’
  • 소문 무성하던 장현식, 4년 52억 원에 LG로…최원태는 '낙동강 오리알' 신세?
  • 오늘의 상승종목

  • 11.1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14,930,000
    • +4.2%
    • 이더리움
    • 4,434,000
    • +0.14%
    • 비트코인 캐시
    • 606,500
    • +0.58%
    • 리플
    • 814
    • -4.8%
    • 솔라나
    • 301,900
    • +6.19%
    • 에이다
    • 853
    • -1.95%
    • 이오스
    • 778
    • -1.27%
    • 트론
    • 232
    • +0.87%
    • 스텔라루멘
    • 154
    • -0.65%
    • 비트코인에스브이
    • 82,800
    • -3.04%
    • 체인링크
    • 19,550
    • -3.84%
    • 샌드박스
    • 407
    • +0.9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