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에서 세 번째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항체치료제를 개발했다는 게 나름의 성과고, 늦어도 올해 상반기엔 국산 1호 백신도 나올 것이다.”
국내 코로나19 치료제·백신 개발이 속도를 내고 있다. 치료제·백신 개발은 기업들의 몫이지만, 그 뒤엔 정부의 숨은 노력도 있다. 정부는 국내 첫 번째, 세계 세 번째 항체치료제 개발 기업인 셀트리온을 비롯해 치료제·백신 개발 기업들의 임상시험·개발절차 등을 지원하고 있다.
유주헌 코로나19 치료제·백신 개발 범정부 지원위원회 사무국 총괄팀장(보건복지부 소속)은 이투데이와 전화인터뷰에서 “치료제·백신 개발에는 범정부적인 협조가 필요하다. 지금까진 각 절차를 개별적으로 지원해 기업들은 시간적인 부담이 굉장히 컸다”며 “지원해야 할 사업체가 많아 행정의 효율성도 떨어졌다”고 말했다. 그는 “전반적으로 각 부처에 흩어진 유사·중복 정책들을 정리하고, 신속한 치료제·백신 개발에 장애물이 되는 제도들을 개선하는 게 위원회의 역할”이라고 설명했다.
대표적인 게 원활한 임상시험 진행을 위한 중앙 임상시험심사위원회(IRB) 제도 조기 시행이다. 첫 적용 기업은 SK바이오사이언스다. 여기에 정부는 국내 임상시험 참여자 모집 연계, 현지 공관과 기업 간 1대 1 지원체계를 구축했으며, 임상시험 참여자 예방접종 증명서 부여 등 관련 제도들을 개선했다. 검체 분석을 위한 인력·시설도 사전 확충했다.
유 팀장은 “항체치료제를 개발한 국가가 몇 없다”며 “감염병 상황에서 가장 먼저 나오는 게 항체치료제이고, 다음이 화이자 등이 개발한 합성화학물 치료제인데, 항체치료제만 보면 한국은 굉장히 빨리 치료제를 개발한 국가”라고 강조했다.
다만 합성화학물 치료제 개발까진 아직 갈 길이 멀다. 그는 “현재까지 국산 합성화학물 치료제들은 임상시험, 효능검증 단계”라며 “한국은 상대적으로 감염병 치료제 기반이 약하다. 합성화학물질로 치료제를 개발한 역사가 짧고 미국 등에 비해 기술력도 부족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번 코로나19가 경제·사회 전반에 큰 피해를 줬지만, 치료제 개발이란 측면에선 기업들이 기술력을 확보하고, 경험을 축적할 계기가 된 것도 사실”이라며 “현재 개발 중인 치료제들은 효능검증을 좀 더 지켜봐야 해 언제쯤 개발이 성공할 것이라고 예측하긴 어렵지만, 빈약한 기반에서도 많은 기업이 치료제 개발에 참여하고, 그 과정에서 기술력이 높아지고 있다는 데 상당한 의미가 있다”고 평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