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으로 ‘제로금리’ 시대가 막을 내리면서 은행권의 주요 대출금리도 6%에 육박할 것으로 보인다. 지난 8월 기준금리 인상 당시에도 대출금리가 최대 1%포인트(p) 이상 오른 만큼 이번 금리 인상으로 인한 대출금리의 추가 상승도 이어지며 은행 차입자들의 이자 부담이 커질 전망이다.
25일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기준금리를 0.25%p 인상하기로 결정하며 기준금리 1% 시대가 다시 열렸다.
한은이 통화정책 정상화를 추진하면서 대출금리는 앞으로 더욱 상승할 것으로 전망된다. 대출금리는 기준금리와 가산금리를 더하고 우대금리를 제해서 결정되는데, 기준금리가 오른 만큼 대출금리도 상승할 가능성이 커진 것이다.
이날 기준 KB국민·신한·하나·우리은행 등 4대 시중은행의 변동형(신규 코픽스 기준 변동금리) 주담대 금리는 3.58~4.954%로 작년 말(2.52~4.054%)보다 1%p 가까이 올랐다. 고정형(금융채 5년물 고정금리) 주택담보대출 금리 역시 이날 연 3.85~5.191%로 지난해 말(2.69~4.20%)보다 1%p 넘게 오르며 최고 금리가 5%대에 올랐다.
같은 기간 신용대출(1등급·1년 만기) 역시 2.65~3.76%에서 현재 3.40~4.63%로 상승했다.
이같은 대출금리는 기준금리 0.75%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추가 상승한 기준금리가 반영된다면 당장은 아니더라도 대출금리의 상단이 연 6%대로 진입할 수도 있는 것이다. 특히 은행권이 예대금리 마진에 따라 예금금리 상승에 압박을 받고 있는 상황이어서 수신 금리 상승이 대출금리의 인상을 견인할 가능성도 있는 만큼 대출자의 부담은 더욱 커질 것이란 의견이 나오고 있다.
은행 관계자는 “대출금리가 기준금리와 가산금리를 더한 뒤 우대금리를 받는 식으로 결정되는 만큼 실제로 6%대로 대출을 받는 차주는 많지 않겠지만, 이론적으로 6%대 금리인 대출도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또한 “기준금리 상승의 영향으로 수신금리가 오르게 되면 대출금리도 영향을 받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러한 대출금리 상승은 신규 차주는 물론 기존 차주들의 부담을 가중할 것으로 보인다. 한은 역시 이날 기자회견을 통해 대출 금리 상승에 따라 신규 차입자는 높아진 금리를 적용받게 되며, 기존 차입자 중 변동 금리 차입자 역시 시차를 두고 이자부담이 높아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가계대출의 변동금리 비중이 75% 수준인 만큼 전반적인 가계의 이자 부담은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날 한국경제연구원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올해만 기준금리가 0.5%p 인상되면서 기대인플레이션을 더한 가계대출 금리 상승 효과는 1.03%p로 조사됐다. 가계가 체감하는 이자부담은 연간 17조5000억 원 늘어나는 것으로 금융부채가 있는 1174만 가구당 금액으로 환산하면 1가구당 증가하는 이자부담은 연 149만1000원에 달할 것으로 분석했다.
대출금리 상승이 이어지면서 대출의 질적인 측면이 악화될 것이라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늘어난 이자를 감당하기 어려운 다중채무자 등 금융 취약계층을 중심으로 대출의 부실화가 진행될 수 있어 우리 경제 전반으로 위기가 전이될 것이라는 지적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금융 취약계층의 빚이 부실화되지 않도록 세심히 살펴볼 필요가 있다”면서도 ““기준금리 상승으로 차주의 이자 부담이 커지고 내년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도 강화되면서 실수요 위주의 대출 시장이 조성되는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