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수소연료전지 촉매와 홀로그램용 신소재 등 미래 소재ㆍ부품ㆍ장비(소부장) 기술 개발 지원에 나선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나노ㆍ소재기술개발사업의 2021년도 신규 과제를 선정, 8개 국가핵심소재연구단과 4개 미래기술연구실이 신규 출범한다고 3일 밝혔다.
올해부터 유형에 따라 크게 185대 R&D핵심품목 자립화를 위한 ‘국가핵심소재연구단’과 65대 미래선도품목 등의 미래 첨단소재 확보를 위한 소재분야 ‘미래기술연구실’로 구분ㆍ지원하고 있다.
국가핵심소재연구단(연구단)은 2019년(추경) 5개 연구단을 시작으로, 2020년 27개 연구단, 이번에 선정한 8개를 포함해 올해에는 총 57개 연구단을 지원할 계획이다. 특히, ‘수소연료전지용 초저백금촉매 연구단(조은애, KAIST)’은 앞으로 연구수행을 통한 경제적 가치 창출 등의 성과가 기대된다.
백금은 1g 당 7만 원 상당의 고가로 통상 촉매 가격이 연료전지 전체 가격의 45%를 차지한다. 연구단은 촉매에 사용되는 백금 양을 기존의 상용 방식에 비해 10분의 1 수준으로 저감하면서, 동일 성능의 초고활성ㆍ고내구성을 갖는 신촉매소재 개발(원천기술 확보)을 목표로 한다. 신촉매소재 개발 이후에는 대량 생산을 위한 최적의 양산 기법을 기업과 함께 개발하도록 지원한다.
이 밖에 연구단은 이차전지용 실리콘 음극소재 연구, 수송기기용 바이오매스 기반 바이오플라스틱 소재 개발 등도 지원한다.
미래기술연구실(연구실)은 미래 유망 소재분야의 공급망을 선도적으로 창출ㆍ선점토록 한국재료연구원(소재혁신선도본부) 중심의 조사ㆍ기획 전문가 집단체계를 구성ㆍ활용해 미래 첨단소재별 기술난제를 도출, 이를 해결하는 R&D 지원 방식의 적용에 집중할 계획이다.
이러한 방향에서 ‘홀로그램용 광메타소재 연구실(김용해, ETRI)’은 미래 디스플레이 분야의 핵심기술 선점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미래형 홀로그램 구현을 위해서는 2비트 수준의 해상도 향상과 10도 이하의 시야각 확대 문제가 기술 난제였다. 연구실은 6비트급 고해상도(400㎚)와 60도 이상 광시야각이 가능한 미래용 홀로그램 구현을 위해 빛의 위상과 세기를 동시에 능동적으로 변조할 수 있는 새로운 광메타소재 개발(원천기술 확보)을 목표로 한다.
이 밖에, 미래 모빌리티용 고강도 알루미늄 개발 등도 지원하며 2025년까지 총 100개 연구실을 선정ㆍ지원할 계획이다.
12개 연구단ㆍ연구실에는 5년 동안 총 720억 원을 지원하고, 주기적인 교류회ㆍ토론회 개최, 특허 전략 수립ㆍ실행, 기술 수요 기업 조사ㆍ연계 및 산학연 협력 등의 R&D과정 수행 밀착 지원도 추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