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인플레압력 쿼더러플 악재 빠질수도..금리인상 등으로 과도한 유동성 차단해야

입력 2021-07-19 12:00 수정 2021-07-19 13:0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수요측·공급측·기대인플레·글로벌 물가상승 압력 직면
선진국 대비 덜 풀었던 재정, 2차 추경해도 물가상승 압력 없어

(사진제공=롯데쇼핑)
(사진제공=롯데쇼핑)

우리 경제가 경기회복 과정에서 인플레이션 압력에 빠질 수 있다는 경고가 나왔다. 과도한 유동성 방지를 위해 사실상 선제적 기준금리 인상 등이 필요하다고 봤다.

반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과정에서 투입한 확대재정이 선진국대비 적어 최근 논의되고 있는 2차 추가경정예산에 따른 돈 풀기가 이뤄지더라도 이에 따른 물가상승 압력은 없을 것으로 봤다.

19일 한국은행 박경훈 전망모형팀 차장과 이종웅 물가연구팀 과장 등이 발표한 BOK 이슈노트 ‘최근 인플레이션 논쟁의 이론적 배경과 우리 경제 내 현실화 가능성 점검’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경제활동 정상화 과정에서 수요측 요인에 의한 물가상승 압력이 예상보다 확대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평가했다. 또, 원자재가격 상승과 해상운임 급등 등 공급측 요인에 의한 물가상승 압력도 확대되고 있다고 봤다.

이런 가운데 기대인플레이션도 상방압력을 받고 있다고 전했다. 중기시계이긴 하나 소규모 개방경제인 우리 경제 특성상 미국 등 각국 정부의 부양책 시행으로 인한 글로벌 물가상승 압력도 국내로 전이될 가능성이 상존한다고 전망했다.

이 같은 분석은 최근 미국 내 인플레이션 논쟁을 국내 상황에 비춰 본 것이다. 현재 미국 내에서는 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확산) 초기 대규모 유동성 지원 정책이 통화량 확대를 통해 인플레이션 압력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제기된 가운데, 조 바이든 정부의 대규모 재정지출이 수요증대와 함께 기대인플레 상승으로 이어질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다. 또, 소위 보복소비(팬트업소비·pent-up) 급증과, 경기회복 기대감에 따른 원자재가격 상승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부문별로 국내상황에 비춰보면 우선, 통화량과 관련해서는 팬데믹 이후 광의통화(M2) 등 통화지표 증가율이 확대되고 있지만 2000년대 이후 불분명해진 통화량과 인플레이션 관계를 고려하면 이 자체로 크게 우려할 수준은 아니라고 평가했다.

아울러 재정적 물가이론 관점에서 보면 코로나19 극복과정에서 보인 선진국의 대규모 재정적자에도 불구하고 인플레 발생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대규모 재정정책을 펴는 미국의 경우 다를 수 있다는 관측이다. 우리나라 역시 선진국에 비해 상당히 적은 규모로 재정을 풀었다는 점에서 최근 논의되고 있는 2차 추경을 하더라도 인플레를 초래하지는 않을 것으로 봤다.

다만, 팬데믹 기간 중 급증한 통화량이 향후 마이너스(-) 국내총생산격차(GDP갭)을 축소하는 과정에서 인플레 압력으로 작용할 가능성은 있다고 진단했다. 즉, 위기 대응 과정에서 늘어난 유동성을 적절한 시점에 회수하지 못할 경우 경기회복 과정에서 보복소비 수요 확대 등과 맞물리면서 인플레 압력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인플레 압력을 엿볼 수 있는 대표적 지표인 필립스곡선의 수요측 요인(GDP갭률) 기울기 역시 추정결과 코로나19 이전과 대체로 비슷한 수준을 나타냈다. 이는 예상보다 빠른 경기회복과 원자재값 상승 지속 등이 동반될 경우 단기적으로 인플레 압력이 확대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박경훈 차장은 “향후 경기회복세를 저해하지 않는 수준에서 유동성의 과도한 확대를 방지할 필요가 있겠다. 이는 경기부양 과정에서 재정정책과 통화정책을 통해 유동성이 확대됐다는 점에서 종합적인 관점에서 볼 필요가 있다는 의미다. 즉, (기준금리 인상 등) 정책적 요인 외에도 경제주체들의 유동성 선호 증가 측면도 함께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 “해외와 공급요인의 상방리스크가 자기실현적 기대로 전이되지 않도록 기대인플레를 관리하는 것도 점차 중요해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긁어 부스럼 만든 발언?…‘티아라 왕따설’ 다시 뜨거워진 이유 [해시태그]
  • 잠자던 내 카드 포인트, ‘어카운트인포’로 쉽게 조회하고 현금화까지 [경제한줌]
  • 단독 "한 번 뗄 때마다 수 백만원 수령 가능" 가짜 용종 보험사기 기승
  • 8만 달러 터치한 비트코인, 연내 '10만 달러'도 넘보나 [Bit코인]
  • 말라가는 국내 증시…개인ㆍ외인 자금 이탈에 속수무책
  • 환자복도 없던 우즈베크에 ‘한국식 병원’ 우뚝…“사람 살리는 병원” [르포]
  • 트럼프 시대 기대감 걷어내니...高환율·관세에 기업들 ‘벌벌’
  • 소문 무성하던 장현식, 4년 52억 원에 LG로…최원태는 '낙동강 오리알' 신세?
  • 오늘의 상승종목

  • 11.1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19,195,000
    • +7.8%
    • 이더리움
    • 4,624,000
    • +4.47%
    • 비트코인 캐시
    • 615,000
    • +0%
    • 리플
    • 829
    • -0.96%
    • 솔라나
    • 305,600
    • +4.77%
    • 에이다
    • 835
    • -0.6%
    • 이오스
    • 783
    • -3.81%
    • 트론
    • 231
    • +0.87%
    • 스텔라루멘
    • 155
    • +1.31%
    • 비트코인에스브이
    • 84,950
    • +1.25%
    • 체인링크
    • 20,430
    • +1.19%
    • 샌드박스
    • 416
    • +2.2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