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금리 인상 예상 시점을 다소 앞당기기는 했지만, 연준의 입장은 확고하다. 현재 인플레이션은 일시적이라는 것이다. 긴축 전환을 서두르지 않겠다는 의미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의 신중함을 두고 비판이 이어진다. 연준이 인플레이션 우려를 과소평가하고 있으며 뒤늦은 대응이 결국 경기침체를 촉발할 것이라는 지적이다.
시장의 경고에도 연준은 조심스럽다. 섣부른 시장 개입이 경기침체로 이어진 과거 경험을 경계해서다. 1차 세계대전 이후 조성된 저금리 환경에서 투기 열풍이 심상치 않자 벤저민 스트롱 당시 연준 의장은 긴축 정책으로 전환했다. 이후 대공황이 발생하면서 물가 하락과 경기하강을 초래했다.
인플레이션은 일시적이라는 연준과 당장 행동에 나서야 한다는 반대 입장 모두 일견 타당하지만, 문제는 변수다. 현재는 과거만으로 풀 수 없는 고차방정식이다.
당장 델타 변이 확산으로 경기회복에 다시 경고음이 켜졌다. 무섭게 오르던 원자재 가격도 꺾였다. 이는 연준의 입장에 힘을 실어주고 있다.
연준도 장담해서는 안 된다. 가보지 않은 길이어서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3단계에 걸쳐 양적완화에 들어간 반면 지난해엔 처음부터 무제한 양적완화에 돌입했다. 2008~2014년 연준이 양적완화로 시장에 푼 돈은 4조5000억 달러(약 559조 원)이지만, 이번엔 1년 새 7조 달러에 달한다.
이럴 때일수록 기본에 충실해야 한다. 정치 셈법을 배제한 연준의 냉정한 시장 분석이 필요하다. 네 번의 대통령 아래에서 연준 의장(1951~1970년)을 역임한 윌리엄 맥체스니 마틴 주니어는 1965년 베트남전쟁 이후 린든 존슨 대통령이 금리 인상을 하지 말라고 압박했지만, 고집을 꺾지 않았다. 그는 “통화정책으로 물가를 조절하는 사람은 박수 받기를 기대해서는 안 된다”며 “연준의 역할은 파티가 한창 무르익을 때 펀치볼을 치워버리는 것”이라고 말했다.
시장과의 적극적인 소통도 필수다. 미국을 비롯한 글로벌 자산시장이 닷컴 버블을 뛰어넘어 사상 최대치로 부푼 만큼 금융시장의 ‘긴축 발작’은 감당하기 힘든 후폭풍을 초래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