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장 시급한 문제는 탈석탄…전 세계와 반대 방향"
"현 정부 들어 탄소 배출량 오히려 늘어"
"해법은 원자력 및 재생에너지 공존 가능성"
"한-미-중-일 기후에너지 협의체 구축해야"
원희룡 제주도지사의 '탄소중립'에 대한 생각은 확고했다. 십 수년간 기후변화 대응을 실천해 온 만큼 단순히 "탄소를 줄여야 한다"를 넘어 "직접 피해를 입을 그 다음 세대를 걱정해야 한다"는 것이다.
원 지사는 28일 이투데이와의 인터뷰에서 "기후변화로 가장 큰 피해를 입을 당사자는 젊은 세대"라며 "가장 중요한 것은 2030 미래세대에게 기후, 에너지, 환경은 물론 교육, 일자리, 출산 등의 정책 참여의 기회를 확실히 보장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들에게 관련 정책 결정 과정에서 실질적 의사 제안의 기회와 결정권이 마땅히 주어져야 한다는 의미다.
실제 스웨덴의 ‘툰베리’, 얼마 전 기후정상회의에서 전 세계 정상들을 상대로 목소리를 낸 멕시코의 ‘시예 바스티나’ 모두 10대 소녀들이다.
원 지사는 "이 소녀들의 목소리가 세계적 울림으로 연결되는 것은 그들이 꼭 특출해서가 아니라 동세대 젊은이들의 목소리와 걱정을 대변하고 있기 때문 아니겠냐"고 말했다.
원 지사는 이들이 ‘살 만한 세상’이 되도록 기성세대는 끊임없이 고민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가장 시급한 문제로 ‘탈석탄’을 지목했다.
원 지사는 "전 세계는 이미 뚜렷한 탈석탄의 길로 가고 있는데 우리는 반대로 가고 있다"면서 "현 정권 들어 느닷없이 밀어붙인 탈원전 정책으로 발생한 전력 공백을 석탄 등 화석연료로 대체하다보니 탄소배출이 늘어났다"고 지적했다.
이 같은 정책 방향으로 현 정부 들어 탄소 배출량이 오히려 늘어났고 이에 대한 국제사회의 비판이 거세졌다는 것. 실제 석탄 발전은 원전 대비 온실가스 배출량이 30배가 넘는다. 또 2018년 온실가스 배출량(약 7억 2760만톤)은 역대 최고치다.
원 지사는 "각국의 기후행동을 추적하는 국제단체(Climate Action Tracker)는 한국의 온실가스 감축 노력이 ‘대단히 부족하다’고 평가하고 있고, 심지어 국제사회로부터 해외 석탄 금융으로 인해 ‘기후악당’이란 비판까지 받고 있다"고 꼬집었다.
정부의 노후 석탄발전소 조기 폐쇄, 신규 해외 석탄발전소 금융지원 중단 등의 노력도 역부족이라는 게 원 지사의 생각이다.
그는 "문재인 정부는 신규 석탄발전건설은 그대로 둔 채 노후 석탄발전소 조기 폐쇄를 ‘업적’으로 내세우고 있다"면서 "이 계획 역시 이전 정부가 세운 계획을 조금 앞당긴 것에 불과하다"고 비판했다.
원 지사는 탈석탄 외에도 몇가지 제안을 했다. 그는 "기후변화 시대의 에너지 해법은 원자력과 재생에너지의 조화로운 공존이 될 가능성이 높다"면서 "둘 다 온실가스에서 자유로운 청정에너지이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경제적으로도 재생에너지를 원자력과 결합하면 온실가스 배출과 총비용이 감소하는 반면, 석탄과 결합하면 온실가스 배출과 총비용이 오히려 증가한다"고 부연했다.
또 "한·미·중·일 기후에너지 국가정상급 협의체를 구축해 여러 환경 난제도 함께 해결해야 한다”며 “다자적 협력체가 있었다면 일본의 후쿠시마 오염수 해양방출 결정은 상상하기 어려운 일”이라고 지적했다.
원 지사는 "정부는 뉴노멀 기후시대 선도를 위한 로드맵 제시, 기업은 로드맵에 제시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아이디어·기술 선도, 개인은 위기 인지와 실천을 해야한다"고 각 추제별 역할을 피력했다.
원 지사는 2008년 10월 저탄소 녹색성장 국민포럼을 발족한 이래 일관되게 기후변화 대응과 녹색성장에 노력을 기울여왔다.
또 2014년 제주지사에 취임해서는 카본프리 제주(CFI : 탄소중립과 같은 의미) 계획을 수립해 재생에너지 100%, 전기-수소차 100%를 실천하고 있다. 2015년엔 파리 기후변화 당사국 총회에서 제주를 대한민국의 대표 사례로 발표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