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내 혹은 늦어도 이주열 총재 임기전(내년 3월) 인상vs인상시기 당겨졌어도 내년 3분기
성장률과 물가 전망치를 크게 올렸고, 사실상 연내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까지 내비친 한국은행 5월 금융통화위원회 결정에도 불구하고 채권시장에선 되레 비둘기파(통화완화파)적이었다는 판단이 지배적이다. 전날까지만 해도 금통위원 중에서 인상 주장을 하는 소수의견까지 나올 수 있다고 바싹 긴장하면서 선반영 했던 탓이 크다. 또, 이주열 총재 언급 중에서도 비둘기파적으로 해석할 수 있는 대목도 여전히 많아서다.
다만, 매파적(통화긴축적) 언급도 여럿 있었던 만큼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기준금리 인상 시점이 앞당겨질 것이라는 데는 대체로 동의하는 모습이다.
금리인상 조건으로 경기회복을 1순위로 꼽았다는 점도 금리인상이 늦어질 것이라는 입장에서는 힘이 됐다. 실제, 이 총재는 기자회견에서 “연내 인상 여부는 결국 경제 상황의 전개에 달렸다. 코로나19 전개 상황과 그에 따른 경제회복 흐름, 속도나 강도 등 경제회복 정도를 좀 더 지켜보면서 적절히 통화정책을 운영해 나가도록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윤여삼 메리츠증권 연구원은 “경기개선과 금융불균형 관련 추가 재료가 유입될 경우 (인상) 시점이 앞당겨질 가능성이 높아진 점은 인정”한다면서도 “금리인상 시점은 기존대로 내년 7월이 유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반면, 연내 인상 내지는 이 총재 임기가 종료되는 내년 3월전에 금리인상이 이뤄질 수 있다는 전망도 많았다. 경제지표 반등과 함께 금통위에서도 가계부채 문제 등으로 초점이 이동하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 금통위 직후 나온 통화정책방향 자료를 보면 ‘자산시장으로의 자금 쏠림, 가계부채 증가 등 금융불균형 누적에 보다 유의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 증권사 채권담당 본부장은 “경제지표 반등이나 가계대출 증가세가 계속 이어지는 상황이다. 7월에 인상 소수설이 나오고 11월엔 인상이 가능할 것 같다. 한은도 내년보다는 올해 먼저 인상하는게 여러 가지 일정을 봐도 편할 듯하다”고 말했다. 한 자산운용사 채권담당 본부장도 “빠르지도 늦지도 않게 하겠다 했다. 최소한 기저효과가 제거되는 3분기 지표를 본 후 올해 4%, 내년 3% 이상 성장에 대한 자신감이 생긴다면 4분기 소수의견에 내년 1분기 중 인상이 이뤄질 것”이라고 예상했다.
김진명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코로나19 확산 불확실성이 다소 낮아지는 내년 2월 인상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한다”면서도 “한은이 제시한 경제전망 낙관 시나리오가 가시화할 경우 연내 인상도 완전히 배제할 수 없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