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영향으로 최악의 실적을 기록했던 정유업계가 국가별 제품 수요 변동에 대응하면서 반등을 모색하고 있다.
대한석유협회는 27일 정유 4사(SK에너지ㆍGS칼텍스ㆍ에쓰오일ㆍ현대오일뱅크)가 올 1분기에 수출한 석유제품 물량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7.4% 감소한 9094만 배럴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같은 기간 수출 금액은 61억4300만 달러로 18.9% 줄었다. 1분기 물량 기준으로만 보면 2011년 1분기 이후 10년 만의 최저치다.
석유협회는 코로나19 영향으로 글로벌 석유 수요가 감소하자 국내 정유업계가 가동률을 조정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실제 지난해 1분기와 올 1분기 국내 정제가동률은 81.6%에서 72%로 떨어졌다.
정유업계는 제품 수출이 감소했지만 국가별 제품 수요 변화에 발 빠르게 대응하면서 반등을 모색하려는 모습이다.
석유협회는 정유업계가 코로나19 영향을 빠르게 벗어난 중국 수출에 집중했다고 분석했다.
올 1분기 석유제품 수출국 순위는 중국이 36.9%로 1위를 차지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19%)보다 두 배 가까이 늘었다. 중국에 수출한 물량은 3360만 배럴이다.
이어 일본 14.4%, 호주 8.8%, 미국 8.6%, 싱가포르 6.9% 순이었다.
일본은 올 2월 후쿠시마현에서 발생한 지진으로 정제설비 가동이 중단돼 난방유인 등유 수출이 22% 증가했다. 이에 따라 지난해 1분기 3위에서 올해 2위로 올라섰다. 일본에 수출한 물량은 1312만 배럴이다.
정유업계는 호주를 상대로 경유 수출을 두 배 이상 늘렸다. 호주 항공유 수출이 99% 감소한 데 따른 것이다. 정유설비 폐쇄로 석유제품 공급이 축소되는 상황에 맞춰 호주 수출 물량을 늘리기도 했다.
미국 항공유 수출도 늘리고 있다. 미국은 최근 항공 수요가 회복되는 추세다. 항공유 전체 수출 물량 중 미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올 1월 43%에서 지난달 83%로 증가했다.
수출채산성도 개선되는 모습이다. 석유협회에 따르면 올해 제품 수출 단가가 배럴당 67.6달러로 원유도입단가(58.1달러)보다 9.4달러 높다. 석유 수요 감소와 저장용량 한계로 이른바 '밀어내기' 수출을 했던 지난해와 비교할 때 수출 체질이 개선된 것이라는 분석이다.
석유협회 관계자는 "석유제품 수요와 정제마진이 코로나19 이전 수준을 회복하려면 다소 시간이 걸리겠지만, 정유업계는 수출국 다변화와 국가별 수급 상황에 맞춘 전략으로 글로벌 수출시장에서 경쟁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