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 과의존 위험군이 23.3%로 작년보다 3.3%포인트(p)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유아동과 청소년의 증가 폭이 컸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과 이러한 내용의 ‘디지털정보격차’ 및 ‘스마트폰 과의존’ 관련 실태조사 결과를 10일 발표했다.
‘2020 디지털정보격차 실태조사’는 저소득층ㆍ장애인ㆍ농어민ㆍ고령층 등 취약계층의 디지털에 대한 접근ㆍ역량ㆍ활용 수준을 측정하는 것으로 전국 17개 시ㆍ도 1만5000명을 대상으로 1대 1 면접조사 방식으로 진행했다.
또 ‘2020 스마트폰 과의존 실태조사’는 전국 17개 시ㆍ도 1만 가구를 대상으로 스마트폰 사용에 대한 조절력, 건강ㆍ일상생활에 대한 문제 발생 등으로 구성된 질문을 통해 점수화하여 과의존 위험군을 분류하고, 스마트폰 이용 행태 등을 1대 1 면접조사 방식으로 조사했다.
2020년 일반국민 대비 디지털 취약계층의 정보화 수준은 72.7%로 전년(69.9%)대비 2.8%p 개선돼 디지털정보격차가 꾸준히 완화되는 추세로 나타났다. 부문별로 디지털 접근수준은 93.7%로 전년 대비 2.0%p 상승, 역량수준은 60.3%로 전년 대비 0.1%p 상승, 활용수준은 전년 대비 6.0%p 상승한 것으로 각각 나타났다.
계층별로는 저소득층의 디지털 정보화 수준이 95.1%로 조사돼 전년 대비 7.3%p 상승했으며, 장애인은 81.3%(+6.1%p), 농어민은 77.3%(+6.7%p), 고령층은 68.6%(+4.3%p)로 모든 계층에서 디지털 정보화 수준이 개선됐다.
2020년 우리나라 스마트폰 이용자 중 과의존위험군(고위험군+잠재적 위험군)의 비율은 23.3%로 전년(20.0%) 대비 3.3%p 증가했다. 연령대별로 유아동(만3~9세)의 과의존 위험군 비율은 4.4%p 증가한 27.3%로 나타났고, 청소년(만10~19세)은 35.8%(+5.6%p), 성인(만20세~59세)은 22.2%(+3.4%p), 60대는 16.8%(+1.9%p)로 조사됐다.
우리 사회의 스마트폰 과의존 문제에 대한 인식은 조사 대상자의 81.9%가 ‘다소 또는 매우 심각하다’고 응답해 전년 대비 3.2%p 상승했다. 과의존 문제 해결의 주체는 개인(61.0%)-기업(21.8%)-정부(17.2%) 순으로 나타나 스마트폰 이용자 개인의 역할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과기정통부는 디지털 사회안전망 강화(한국판 뉴딜)를 위해 추진 중인 ‘디지털배움터’사업을 작년 5개월에서 올해 9개월로 확대하고 기초·생활교육 비중을 70% 이상 편성하는 등 정보격차 완화에 정책역량을 집중할 계획이다. 또 스마트폰 과의존을 예방하기 위해 △전국 17개 시ㆍ도에서 운영 중인 ‘스마트쉼센터’를 통한 교육ㆍ상담 제공 △저연령대(유아동ㆍ청소년) 대상의 맞춤형 예방 콘텐츠 개발·보급(2020년 0.4억 원 → 2021년 4억 원) △디지털배움터와 연계한 찾아가는 과의존 교육ㆍ상담 실시 등 과의존 예방 정책을 확대ㆍ강화할 방침이다.
아울러 코로나19로 가속화된 디지털 전환에 대응하기 위해 과기정통부는 디지털정보격차 해소와 스마트폰 과의존 예방 정책의 실효성을 강화하고 최근 발의된 ‘디지털포용법’의 조속한 국회 통과를 지원하는 등 국민 누구나 소외와 차별 없이 디지털 기술의 혜택을 고르게 누릴 수 있는 디지털 포용사회를 앞당기기 위해 법ㆍ제도적 기반을 정비하는 노력도 더욱 강화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