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역 지키고 접종 동참해야…백신 접종은 끝이 아닌 시작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예방접종 개시와 함께 방역 조치도 느슨해지고 있다. 사회적 거리두기 완화와 별개로 코로나19 백신 보급 기대감에 코로나19에 대한 경각심이 약해지는 게 문제다. 시설별 인원 제한과 ‘5인 이상 사적모임 금지’가 유지되고 있음에도 가족·지인모임, 종교시설, 다중이용시설 등에서 집단감염이 속출하고 있는 게 단적인 예다.
1일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으로 코로나19 확진자는 전날보다 355명 늘었다. 338명은 국내발생으로, 지난달 20일 이후 열흘째 300~400명대에 머물고 있다. 선별진료소 운영 축소로 진단검사가 감소하는 휴일 효과도 나타나지 않는 상황이다.
특히 방역 조치의 약발도 사라지고 있다. 가족·지인모임과 식당, 실내 체육시설 등에서 신규 집단감염이 발생했다. 경기 동두천시 어린이집, 이천 제조업체 등 기존 감염경로에선 하루 새 확진자가 10명 이상 추가됐다. 삼일절 제102주년인 이날에는 서울 시내 곳곳에서 보수단체들의 정부 규탄 집회가 이어졌다. 지난해 광복절 집회의 악몽이 재현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권덕철 코로나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1차장(보건복지부 장관)은 이날 중대본회의에서 “백신 접종에 더해 불어오는 봄바람에 방역에 대한 경각심이 눈 녹듯 사라진 것은 아닌지 매우 우려스럽다”고 말했다.
가장 큰 위험요소는 ‘백신이 공급됐으니 코로나19가 종식될 것’이라는 맹목적인 기대다. 정부 예방접종 계획에 따르면, 예방접종으로 집단면역이 형성되기까진 적어도 6개월이 걸린다. 이 기간에 확산세가 꺾이지 않으면 역학조사와 예방접종에 방역 역량이 분산돼 접종이 완료되는 시점까지 확진자 발생이 이어질 수밖에 없다. 이 경우 거리두기 등 방역 조치 연장도 불가피하다. 그 피해는 또 다시 소상공인·자영업자와 비정규직 등 취약계층이 보게 될 것이다.
그나마 예방접종이라도 제대로 이뤄지면 6개월 뒤 접종이 완료돼 8개월 뒤엔 집단 면역이 효과를 볼 수 있다. 하지만 유언비어, 가짜뉴스에 기인한 아스트라제네카(AZ) 안전성 논란 등으로 예방접종에 대한 거부감이 커지고 있다. AZ 백신을 접종받은 의료진들 사이에서도 “우리가 마루타냐”라는 불만이 나올 정도다. ‘AZ 백신의 안전성·효과성은 충분히 검증됐으나, 65세 이상 고령층에 대해선 추가적인 효과성 검증이 필요하다’는 정부의 설명도 소용이 없다.
뒤늦은 거리두기 조정, 형평성에 어긋난 방역 조치 등으로 정부가 불신을 자초한 면도 있지만, 그게 방역수칙을 무시하거나 백신 접종을 거부할 이유는 되지 못한다.
감염병 위기는 불평등하다. 방역 비협조로 감염병에 걸린 사람은 치료를 받으면 그만이지만, 그 감염병이 취약시설이나 고령층 밀집시설에 유입되면 누군가는 목숨을 잃는다. 누군가는 일자리를 잃거나 가게를 닫고 생활고에 직면하게 된다. 그렇기에 모두의 방역 조치 준수와 백신 접종이 필요하다. 이것이 코로나19 극복을 위한 유일한 방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