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업계에 따르면 SH는 인근 주민들과 왕십리역세권 개발 사업 논의를 이어가고 있다. 사업에 공동 시행자로 참여하기 위해서다. 일종의 공공 재개발 사업이다. 서울시와 성동구도 SH가 주도하는 역세권 개발 사업을 측면 지원하고 있다.
왕십리 역세권 개발 사업은 서울시가 지난해 발표한 '역세권 활성화 추진계획'의 일환이다. 역세권 활성화 추진계획에서 서울시는 역세권(승강장 경계로부터 반경 350m)을 개발할 때 조건부로 용도지역을 상향해 주겠다고 밝혔다. 용도지역이 상향되면 용적률ㆍ건폐율 제한이 완화되기 때문에 건물을 더 높고 조밀하게 지을 수 있어 사업성이 높아진다. 대신 사업자는 용적률 상승으로 증가한 연면적의 50%를 공공시설이나 사회간접자본(SOC) 등으로 조성해야 한다.
이 같은 계획이 나오자 성동구에선 관내 왕십리역세권 개발 가능성을 서울시에 타진했고 서울시는 SH에 사업 참여 검토를 요청했다. 왕십리역 인근 대로 변 건물은 대부분 준공 후 20년이 지난 노후 건축물이기 때문이다. 사업 추진 키를 쥐고 있는 토지주도 SH 참여에 긍정적인 것으로 알려졌다.
SH는 왕십리역 주변 노후 건축물을 고밀 복합 개발할 계획이다. 상업 기능과 주거 기능을 고루 강화하되 지금보다는 주거 기능을 강화하는 데 초점을 둘 것으로 보인다. 도심지 주택 수요가 커진 최근 부동산 시장 상황과 정책 방향에 맞춰서다. 현재 왕십리역 인근은 주로 준주거지역과 제3종 일반주거지역으로 구성돼 있는데 용도지역이 한 단계씩 올라가면 각각 용적률 상한이 400%, 800%까지 높아진다.
다만 SH 관계자는 "아직 사업이 확정된 것은 아니"라고 말했다. 사업 확정에 필요한 주민 동의 등 절차가 남아 있어서다.
SH는 왕십리역 말고도 다른 노후 역세권 개발도 검토 중이다. 은평구 연신내역과 강서구 염창역, 금천구 신독산역ㆍ시흥사거리역, 강동구 강동역 등에서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일부 역세권에선 1000가구 규모 중ㆍ대형 아파트 단지 조성도 거론되는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