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가 2050년까지 수소 500만 톤 생산체제를 구축해 수소 사업에서 매출 30조 원을 달성하겠다는 미래 청사진을 제시했다.
포스코는 13일 '수소 경제를 견인하는 그린수소 선도기업'이라는 비전을 밝히며 미래 청정에너지인 수소 사업을 개척하고, 탈탄소시대를 선도할 계획을 밝혔다.
이를 위해 2030년까지 물을 전기 분해해 수소를 생산하는 기술, 수소를 추출하는 기술 등 핵심 기술과 생산 역량을 조기에 갖추고, 수소 사업을 그룹 성장 사업의 한 축으로 육성해 미래 수소 시장에서 주도권을 확보할 계획이다.
수소는 연간 국내 수요가 2030년 194만 톤, 2040년 526만 톤 이상으로 증가하고, 활용 분야도 석유화학산업 중심에서 수송, 발전 등으로 확대ㆍ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정부도 수소경제위원회 출범과 그린뉴딜 정책을 선언하고 수소 경제로 전환을 추진하고 있다.
현재 포스코는 철강 제조 공정에서 발생하는 부생가스와 천연가스(LNG)를 이용한 연간 7000톤의 수소 생산 능력을 갖추고 있고, 약 3500톤의 부생수소를 추출해 철강 생산 중 온도 조절과 산화 방지 등을 위해 사용하고 있다. 또한, 세계 최초로 수소 연료전지 분리판용 철강제품을 개발해 국내에서 생산되는 수소차에 공급하는 등 수소 생산과 이용에 필요한 역량을 갖추고 있다.
향후 포스코는 수소를 활용한 철강 생산 기술인 ‘수소환원 제철공법’ 연구와 수소를 ‘생산-운송-저장-활용’ 하는 데 필요한 강재 개발, 부생수소 생산 설비 증대, 수소 생산 핵심기술 개발 등의 역량을 갖추고, ‘그린수소’ 유통과 인프라 구축, 프로젝트 참여 등 다양한 사업 기회를 모색하며 대규모 투자를 추진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2025년까지 부생수소 생산 능력을 7만 톤으로 늘리고, 2030년까지 세계적 기업과 손잡고 ‘블루수소’를 50만 톤까지 생산할 예정이다. 동시에 ‘그린수소’는 2040년까지 200만 톤 생산체제를 구축하는 등 2050년까지 수소 500만 톤 생산체제를 완성할 방침이다.
블루수소는 천연가스 등 화석연료를 이용해 수소를 생산하고, 수소 생산과정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포집, 분리해 땅속에 저장한 것을 뜻한다. 그린수소는 재생에너지를 바탕으로 물을 전기 분해해 생산한 수소다.
또한, 포스코는 2050년까지 ‘그린수소’를 기반으로 한 수소환원제철소를 구현해 철강 분야에서도 탈탄소ㆍ수소 시대를 열 계획이다. 수소환원 제철공법이 상용화하면 최대 연간 370만 톤의 ‘그린수소’가 필요해 최대 수소 수요업체이자 생산업체로 도약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와 함께 ‘그린수소’ 생산과 운송에 필요한 핵심기술을 확보하기 위해 국내외 연구기관과 기술 협력을 진행하고, 세계적 기업과 파트너십도 추진한다. 수소 운송과 저장의 핵심 기술로 꼽히는 암모니아 수소추출기술 개발에도 나선다. 암모니아는 수소를 질소와 결합한 것으로 운송과 저장이 쉬워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운반체로 평가받고 있다.
초기사업으로 포스코는 제철소 지역에 수소충전소 설치 등의 인프라를 구축하고, 철강 운송 차량, 사내 업무용 차량 등을 수소차로 전환하는 등 철강 물류 기반의 수소생태계를 육성해 수요 기반 창출에 나설 계획이다. 현재 포스코 철강제품 운송 대형 트럭은 약 1500대이며 임시로 투입되는 운행 대수까지 포함하면 연간 5000대 규모다.
이와 함께 그룹사의 역량을 집중해 ‘생산-운송-저장-활용’ 전 주기에 걸친 가치사슬도 함께 마련한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은 해외네트워크를 활용해 정부의 수소 도입 사업과 해외 수소 프로젝트에 참여하며, 포스코에너지는 수소 전용 터미널을 구축함과 동시에 현재의 LNG 터빈 발전을 30년부터 단계적으로 수소 터빈 발전으로 전환한다. 포스코건설은 수소 도시 개발 프로젝트는 물론 수소 저장과 이송에 필요한 프로젝트 시공을 담당하게 된다.
포스코는 내년 1월 사업부를 출범하고, RIST(포항산업과학연구원)를 중심으로 국내외 연구기관과 연구·개발 협력을 추진해 수소 사업을 본격화한다는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