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3일 “제조업 중심의 지원기준을 서비스기업의 특성에 맞게 개편하고, 핵심 수출형 서비스산업에 2023년까지 4조6000억 원의 자금을 공급하겠다”며 “특히 동분야 스타트업 기업을 중심으로 해외진출의 선결조건인 트랙 레코드(Track-record)가 축적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홍 부총리는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경제 중대본)회의를 주재하고 “11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올해 한국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상향 조정(-1.2%→-0.8%)하면서도 수출여건의 악화를 우려하는 등 대외부문 어려움은 지속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번 ‘K-서비스 해외진출 활성화 방안’은 현재 세계 16위 수준인 서비스 수출을 2025년까지 10위 이내로 끌어올리는 게 목표다. 이를 위해 정부는 △콘텐츠, 의료·헬스케어, 에듀테크, 디지털 서비스, 핀테크, 엔지니어링을 유망 6대 K-서비스로 선정, 분야별 맞춤형 지원을 통해 수출의 획기적 확대를 유도하고 △이들 분야 서비스수 출 경쟁력 강화를 위해 서비스수출 인프라 구축, 글로벌 시장 경쟁력 제고, 기업 현장애로 해소 등 3대 지원을 중점 추진한다.
아울러 이날 회의에선 ‘미래 산업·직업구조 대비 신직업 활성화 방안’과 ‘사회적경제기업 일자리 창출 지원방안’도 함께 논의됐다.
홍 부총리는 “우선 미래산업 및 인구구조 변화에 따라 새롭게 부상 중인 14개의 신직업을 발굴하겠다”며 “스마트건설 전문가, 미래차 정비기술자, 육아전문 관리사 등 신직업이 활성화하도록 관련 법제도 정비 및 전문인력 양성, 초기 시장수요 창출 등 정부가 마중물 역할을 다할 방침”이라고 설명했다.
또 “국내에는 없으나 국제사회에서 주목을 받으며 국내 도입 가능성이 큰 사이버 도시분석가, 고속도로 컨트롤러 등 37개+알파(α)의 유망 잠재직업에 대해서도 도입방안을 검토할 예정”이라며 “50여 개+α의 신직업을 통한 일자리 창출을 시도한 단계이나 향후 이러한 작업이 본격화하도록 더 속도 낼 계획”이라고 밝혔다.
‘사회적경제기업 일자리 창출 지원방안’과 관련해선 “지난해 우리의 사회적경제기업 수는 2만7452개, 종사자 수는 28만4875명으로 최근 빠른 속도로 증가하는 모습”이라며 “그러나 사회적경제기업의 잠재력과 일자리 창출 여력에도 불구, 유럽연합(EU_ 등 선진국에 비해 우리의 사회적경제기업의 역할은 상당히 제한적”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홍 부총리는 “사회적경제기업의 질적 성장과 자생력·경쟁력 강화 등을 통해 2022년까지 6만4000명의 일자리를 창출한다는 목표하에 다음 3가지 지원틀을 마련한다”고 밝혔다.
구체적으론 △사회적경제기업 성장 특례보증 지원(1~3억 원→최대 2배), 사회투자펀드 조성액 확대(연 250억 원→500억 원), 공공기관의 동기업 제품 의무구매 제도화, 온라인 판매채널 확대를 통한 스케일업(scale-up) 지원 △사회적경제지역을 지역별 혁신타운·성장지원센터(소셜캠퍼스온) 등 사회적경제 허브로 조성하고 이를 통해 지역밀착형 사업모델 개발 △사회적경제기업 유망진출 분야 발굴, 문화·교육·과학 분야 사회적경제기업 자생력 강화 등을 추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