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성혁 해양수산부 장관은 12일 정부세종청사에서 브리핑을 통해 이 같은 내용을 담은 '해운재건 5개년 계획 성과점검 및 해운정책 운용방향'을 발표했다.
2018년 7월에 한국해양진흥공사를 설립해 2년간 49개 해운기업에 총 4조2830억 원을 지원한 결과 한진 사태 후와 비교해 매출액은 29조 원에서 37조 원, 선복량은 46만TEU에서 65만TEU, 지배선대는 7994만 톤에서 8535만 톤으로 회복됐다. 지배선대는 선박의 국적을 기준으로 선사가 실질적으로 운영(지배)하는 모든 선박의 규모를 나타내는 지표다. 해운재건 노력으로 HMM은 2015년 1분기 이후 21분 기만에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또 국적 컨테이너선사 간 협력체인 ‘한국해운연합(KSP)’의 협력을 바탕으로 장금상선과 흥아해운이 통합해 세계 20위권 연근해 컨테이너선사로 도약했으며 매출 12.9% 증가와 영업이익 146억 원 흑자 전환이라는 성과를 이뤄냈다. 또 3차례에 걸친 아시아 항로 구조조정을 통해 총 13척의 공급을 조절해 국적선사 간 과잉경쟁을 해소했다.
아울러 해운재건 5개년 계획에서 목표한 선박 200척 중 올해 7월까지 164척(107억4000만 달러 추정)의 선박을 발주했다.
해수부는 해운재건 5개년 계획을 보완해 2025년에는 해운 매출 51조 원, 지배선대 약 1억 톤, 원양 컨테이너 선복량 120만 TEU라는 목표를 세우고 △해양진흥공사 중심의 지원 강화 △컨테이너선사 경영혁신 지원 △해운산업 지원 인프라 구축 3가기 정책을 중점 추진할 계획이다.
하반기부터 해양진흥공사의 선박 매입 후 재대선(S&LB) 사업에 운용리스 사업을 추가하고 중장기적으로 선사‧조선사‧공공기관 등이 참여하는 리스전문 선주회사(Tonnage Provider) 설립을 추진해 선사의 원가경쟁력을 높인다.
또 코로나19와 같은 상황이 발생해 해운기업에 유동성을 긴급 지원해야 할 때 예외적으로 신용보증을 제공할 수 있도록 올해 안에 공사법 개정을 추진하고 선진 해운 조세 제도(선박 가속상각) 도입 타당성을 검토해 신조 발주체계를 마련한다.
아울러 독자 운임지수 개발, 선가 변동 데이터베이스 등 선박거래 정보제공, 종합 컨설팅사업 추진 등을 통해 국적선사의 역량 강화 및 위험요소 관리를 지원할 계획이다.
HMM이 2022년 실적을 기준으로 당기순이익을 달성할 수 있도록 실적 모니터링 및 상시 평가를 위한 과학적 의사결정 시스템(Operations Research)을 정착하고 현재 59만TEU 수준의 컨선 선복량을 2022년에 100만TEU까지 확대해 미주 동안, 남미, 중동 등 신규항로도 개척한다.
해외 물류시설 확충과 육상운송 투자 확대를 위해 중국에 컨테이너 장치장을 확보하고 미국 철도운송 기업과 협력해 미주 내륙운송 서비스를 강화하는 한편, 유럽 내 트럭ㆍ항공 연계운송 서비스도 개발한다.
동남아시아 시장에서 국적 컨 선사들이 세계적인 선사들과 대등하게 경쟁할 수 있도록 국적선사 간 △‘K-얼라이언스’ 구성 △공동운항법인 설립 △전문영업법인 설립 △자율적 인수‧합병 등 4가지 협력방안을 제시하고 참여할 경우 공사에서 저리의 선박금융, 컨테이너 박스 등 필수영업자산 및 운전자금 등을 지원할 예정이다.
마지막으로 해외 물류시장 진출을 위해 해양진흥공사와 항만공사 등을 중심으로 신남방 유망항만인 베트남, 방글라데시와 유럽 거점 항만인 네덜란드, 스페인에 대한 인프라 투자펀드와 정책금융을 지원할 계획이다.
문성혁 장관은 “해운재건 5개년 계획의 전반기는 한진해운 파산 이전의 해운산업 위상을 회복하는 데 주력했다"며 "한국해운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 남은 계획 기간 동안 오늘 발표한 해운 정책들을 차질 없이 이행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