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 10명 중 6명이 회사에서 세대 차이를 느끼고 있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대한상공회의소는 8일 발표한 ‘한국기업의 세대갈등과 기업문화 종합진단 보고서’를 통해 30개 대ㆍ중견기업에 속한 직장인 약 1만3000명에 대한 실태조사를 기초로 세대별 심층면접을 한 결과 직장인 63.9%가 세대 차이를 느끼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고 밝혔다.
나이별로 20대와 30대의 체감도는 각각 52.9%, 62.7%, 40대와 50대는 69.4%, 67.3%로 윗세대로 갈수록 세대차이를 상대적으로 많이 느끼고 있다.
이와 반대로 ‘세대 차이가 업무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20대와 30대의 41.3%, 52.3%가 ‘그렇다’고 답한 데 비해 40대와 50대는 38.3%, 30.7%만이 긍정했다.
대한상의 관계자는 “상명하복식 수직적 업무방식과 소통관행 탓에 세대 차이로 인한 애로가 아랫직급에 몰리는 것”이라며 “윗세대로서는 단순한 세대 차이라 여기는 일도 아랫세대로서는 세대갈등으로 심각하게 받아들일 수 있다”고 지적했다.
추가 근무에 대한 인식도 세대별로 갈렸다. ‘성과를 위해 야근은 어쩔 수 없다’는 항목에 대해 40대와 50대는 35.5%, 42.8%가 긍정했지만 20대와 30대는 26.9%, 27.2%만이 긍정했다.
‘업무관행이 합리적인지’와 ‘리더의 지시가 명확한지’ 등을 묻는 말에는 전체적으로 긍정적 평가가 적었다. 50대가 상대적으로 긍정응답 비율이 높았지만 20~40대에서는 긍정적 응답이 절반을 넘지 못했다.
'팀 빌딩 활동’에 대해서는 40·50세대뿐 만 아니라 20·30세대도 대체로 필요하다고 지적했지만, 회식에 대해서는 모든 세대에서 만족도가 높지 않았다.
대한상의 관계자는 “세간의 인식과 달리 윗세대도 회식을 재미없어 하는 것으로 드러났다”며 “‘소통에는 밥 한 끼, 술 한 잔’이라는 회식의 껍데기에 의의를 두기보다 모두가 만족할 수 있는 새로운 회동 방법을 고민해야 할 때”라고 말했다.
이런 세대갈등에 영향을 주는 근본 원인은 낮은 조직 경쟁력에 있는 것으로 대한상의 측은 분석했다.
직장인들은 본인이 속한 조직 경쟁력을 모든 세부영역에서 낮게 평가했다. 세대별 편차도 크지 않았다.
대한상의는 세대 갈등을 넘어서기 위해 피상적인 리더십 교육이 아니라 조직의 체질을 ‘가족 같은 회사’에서 ‘프로팀 같은 회사’로 개선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프로팀의 운영 공식인 ‘선수가 팀을 위해 뛸 때, 팀은 선수가 원하는 것을 준다’는 원칙을 도입해야 한다는 의미다.
이를 위해 △가치 있는 헌신(Re-establish), △상호존중(Respect), △성과와 결과(Result), △보상과 인정(Reward), △훈련과 성장(Reboot) 등 '5R'을 기업문화로 정립해야 한다고 제안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