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용불량 상태가 돼 정상적인 금융 거래가 어려운 자영업자가 지난해 말 기준으로 3만6000명에 육박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문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신용불량 자영업자가 급속히 늘었을 가능성이 크다는 점이다.
나이스신용평가가 5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김종석 미래한국당 의원실에 제출한 개인사업자 기업대출(자영업대출) 현황 자료를 보면, 지난해 말 자영업자 중 금융채무 불이행자는 3만5806명이었다. 금융채무 불이행자는 금융회사에서 50만 원을 초과하거나, 50만 원 이하 2건의 대출을 90일 이상 연체한 사람으로, 2005년까지 ‘신용불량자’란 표현으로 불렸다. 금융채무 불이행자는 대출과 신용카드 발급이 중단되는 등 사실상 모든 금융거래가 끊긴다.
지난해 말 기준으로 자영업대출을 받은 사람은 209만5166명이다. 비율로 보면 50명 중 1명꼴로 금융채무 불이행 상태다. 분기별로는 지난해 2분기 3만3292명, 3분기 3만5567명, 4분기 3만5806명으로 증가세다. 가계대출에서 금융채무 불이행자가 감소하고 있는 것과 대조적이다.
자영업 금융채무 불이행자의 신용등급은 95.0%(3만4009명)가 7등급 이하다. 또 3명 중 2명은 연소득이 3000만 원을 밑돌았다. 특히 대부업체 등 비제도권에서 연체가 발생하는 게 문제다. 대부업체에서 금융채무 불이행자로 등재된 자영업자는 5961명으로 2분기보다 28.7% 늘었다. 1금융권 거래가 중단된 이들이 카드사, 저축은행 등 2금융권을 거쳐 대부업으로 밀려나는 실정이다.
코로나19 확산이 시작된 1분기엔 자영업자의 금융 상황이 더 나빠졌을 가능성이 크다. 사회적 거리두기가 강화되면서 국민의 외부활동이 급격히 위축돼서다. 자영업자들의 매출이 코로나19 발생 전보다 90% 가까이 줄었다는 분석도 나온다.
자영업자들의 도산이나 폐업을 막기 위해선 단기적으로 정책자금이 인공호흡기 역할을 할 수밖에 없다. 정부는 현재 연 1.5% 수준의 초저금리로 자영업자들에게 경영자금을 공급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