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교통공사가 약 18개월 만에 ‘지하철 무인화 사업’을 다시 추진한다. 2018년 9월 노동조합 반발로 무산됐던 사업인 만큼 적지 않은 파장이 예상된다.
15일 관련 업계 등에 따르면 올 초 서울시는 서울교통공사에 미래를 위한 투자 방안으로 지하철 자동운전 시스템 도입 등을 주문했다.
서울시는 서울교통공사가 현안 해결을 위해 미래에 대한 준비를 못 한 만큼 10년 이상이 걸리더라도 지하철 자동운전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전달했다. 더불어 올해 지하철 자동운전에 대한 장기비전을 선포하고 계획을 수립해 추진하라는 구체적인 가이드라인을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교통공사의 지하철 무인화 사업은 2018년 신기술 개발 및 승객 안전 강화 취지로 지하철 8호선에 전자동운전(DTO) 시스템을 도입하려다 노조 반대에 부딪혀 취소됐다. DTO는 전동차의 출발, 정지, 출입문 개폐 등을 전자동화한 방식이지만 기관사 1명이 탑승해 비상사태에 대비한다. 완전 자동화 방식인 ‘무인운전(UTO)’의 전 단계이다.
당시 서울교통공사는 DTO를 도입하면 기관사가 승객의 승하차 과정을 볼 수 있어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고 밝혔다. 특히 서울 지하철 5~8호선은 건설 단계부터 DTO 방식을 채택했다.
특히 서울교통공사는 해외시장 진출을 위해 지하철 무인운행 경험이 있어야 하는 만큼 DTO 도입은 새로운 미래 먹거리 창출 측면에서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대부분의 국가가 철도운영권 수주 조건으로 전자동 운전 기술을 요구한다는 이유에서다.
그러나 노조는 사측의 이 같은 계획이 ‘인력 감축’을 위한 것이라며 강하게 반발했다. 2018년에도 서울시청 앞에서 3개월여간 단식 투쟁과 천막 농성을 벌인 끝에 서울교통공사 측의 DTO 도입 계획을 철회시켰다. 서울교통공사 승무 부문 직원은 현재 약 3300명이다.
서울교통공사 관계자는 “지하철 자동화는 근무시간 12분 연장 건보다 더 (노조의) 저항이 센 문제”라며 “다음 달 새로 출범하는 노조 집행부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인한 비상시국 대처 방안을 논의하는 과정에서 지하철 무인화 얘기도 다뤄질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또 다른 관계자는 “해외사업 등 미래 먹거리를 위해 DTO 도입을 추진하는 것”이라며 “인력 감축과는 무관하다”고 잘라 말했다.
한편 서울시는 서울교통공사의 미래 투자 방안으로 도시철도 건설 경험을 활용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방침이다. 서울교통공사가 도시철도 운영에 집중하면서 건설에 대한 경험과 노하우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는 게 서울시의 판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