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편의점가맹점협회가 편의점에서도 공적공급 마스크를 판매하게 해달라고 요청했다. 정부는 애초 공적 물량으로 확보한 마스크를 편의점에서 판매하기로 했다가 일방적으로 판매처에서 제외한 바 있다.
전국편의점가맴점협회(전편협)는 2일 성명서를 내고 편의점이 공적공급 마스크 판매처에서 제외된 것에 유감을 표하며 편의점이 공적 판매처로 지정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전편협은 "마스크 공적 판매처에 편의점을 빠뜨린 정부의 판단에 항의하는 바이고, 이를 매우 유감스럽게 생각한다"라며 "현재 지정된 공적 판매처의 문제점을 편의점이 해결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공영홈쇼핑의 경우 평소 가입되어 있지 않아 가입 등 절차가 필요하고, 온라인 취약세대에게 불가능한 조치"라고 주장했다.
현재 마스크 공적 판매처는 읍·면 소재 1400개 우체국과 약 1900여 개 농협 하나로마트(서울·인천·경기 제외), 공영홈쇼핑, 전국 2만4000여개 약국, 의료기관 등이다.
전편협은 이어 소비자 접근성이 뛰어난 점을 들어 편의점이 공적 판매처로 지정되어야 한다고 설명했다. 전편협은 "편의점 4만 5000여 점포에 상품을 24시간 이내 공급할 수 있다. 전국 어디서든지 국민이 찾기 쉽게 방문 가능한 곳에 공급할 수 있어 특정 장소에 인파가 한꺼번에 몰려 장시간 대기하는 불편과 감염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다"라고 말했다.
이어 가격 안정화에도 동참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전편협은 "편의점은 코로나19 이후 가격 변동 없이 기존의 가격을 유지해 공급해 왔고, 판매 수량도 제한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췄다"라며 "정부의 가격안정에 적극적인 참여가 가능하다"고 밝혔다.
아울러 실시간으로 재고 물량을 확인할 수 있고, 재고 소진 시 점포 간 물량 이동도 가능하다고 덧붙였다.
전편협은 마지막으로 "판매 이익에 눈이 어두워 공적 판매처를 요구하는 것이 아니다"라며 "극심한 불안 사태에 마스크라도 쓰고 생활을 영위하고자 하는 국민의 최소한의 바람에 우리가 갖고 있고 할 수 있는 것을 이용해 코로나 사태를 조기에 이겨나가기 위한 조치"라고 강조했다.
한편 식품의약품안전처는 마스크 구매과정에서 국민이 겪는 불편을 최소화하고자 공적 물량으로 확보한 마스크를 편의점에서도 팔 수 있게 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