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학기 개강을 앞두고 국내 주요 대학의 중국인 유학생 관리에 비상이 걸렸다. 다음 주 대거 귀국할 중국인 유학생에 대비해 이들을 격리할 공간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최근 중국 정부의 강력한 ‘이동통제’도 고민거리다. 중국인 유학생 귀국 일정이 미뤄지면 학사일정에 차질이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19일 교육부에 따르면 국내 중국인 유학생 7만1067명 중 약 1만9000명이 이미 입국했으며 앞으로 5만 명가량이 더 들어올 예정이다.
대학들은 교육부의 가이드라인에 맞춰 중국인 유학생은 입국 후 14일의 격리기간을 거치도록 하고 있다. 대학들은 기숙사 시설 일부를 이용해 1인 1실을 제공할 계획이지만, 공간이 부족해 녹록지 않은 상황이다.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대학정보공시센터의 대학알리미에 따르면 중국인 유학생 1000명 이상인 17개 대학 중 연세대ㆍ이화여대를 제외한 15곳(88.2%)이 기숙사 방 수가 중국인 유학생 수보다 적다.
기숙사 수용이 역부족인 대학들은 중국인 유학생들을 자율 격리하는 방법으로 관리할 예정이지만 강제할 권한은 없다.
지난해 말 기준 중국인 유학생 상위 10개교는 경희대(3839명)ㆍ성균관대(3330명)ㆍ중앙대(3199명)ㆍ한양대(2949명)ㆍ고려대(2833명)ㆍ한국외대(1810명)ㆍ연세대(1772명)ㆍ홍익대(1694명)ㆍ상명대(1375명)ㆍ숭실대(1349명) 등이다.
한양대 관계자는 “약 1100인실의 기숙사인데 중국인 유학생 수는 대학원생을 포함해 약 2950명”이라며 “인근 지역의 자취방 등에 거주하는 최소 1850명의 중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지방자치단체와 공동 모니터링을 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중국인 유학생에 대한 관리가 잘 이뤄진다고 해도 ‘학사일정’은 넘어야 할 또 하나의 산이다.
중국 정부는 베이징, 상하이, 광저우 등 주요 도시 이동을 통제하고 있다. 다음 주로 예상되는 중국인 유학생들의 입국이 대거 지연될 수 있다.
전국의 4년제, 전문대학 384개교 중 255개교(66.4%)가 개강을 1~3주간 연기했다. 나머지 85개교가 개강연기를 검토 중이다. 대학들은 학사일정에 맞춰 개강 일정을 조율해 놨다. 귀국 지연으로 개강 이후에도 수업에 들어오지 못하면 모두 결석으로 처리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이에 대학들은 중국 유학생의 귀국 일정을 일일이 파악하고 있다. 건국대 관계자는 “유학생들과 실시간 연락 중”이라면서 “혹시 귀국을 못 하는 유학생들에게는 온라인 강의를 제공하고, 이를 출석으로 인정해줄 예정”이라고 말했다. 경희대 관계자는 “수업을 듣기가 어렵다는 유학생들은 휴학도 허용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최악의 상황은 재조정한 학사일정에 차질이 생기는 것이다. 국민대 관계자는 “이동통제 강화로 입국 지연 유학생 수가 많아지면 원활한 강의 진행이 어려워질 수가 있다”면서 “휴학하는 학생이 많아지면 학교 재정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