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방 가능한 외상 사망률이 지난 2년간 10.6%포인트(P)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예방 가능한 외상 사망률은 적절한 시간 내에 병원으로 이송돼 적절한 치료를 받았다면 생존할 수 있었을 것으로 판단되는 외상 사망자의 비율로, 핵심적인 외상 진료체계 성과지표로 활용되고 있다.
보건복지부가 10일 발표한 서울대 산학협력단(책임연구원 김윤)의 조사연구 결과에 따르면, 2017년 예방 가능한 외상 사망률은 19.9%로 2년 전(30.5%)보다 10.6%P 낮아졌다. 미국 등 선진국의 예방 가능한 외상 사망률은 15% 내외다.
권역별로는 모든 권역에서 예방 가능한 외상 사망률이 낮아졌는데 광주·전라·제주권역은 2015년 40.7%에서 2017년 25.9%로 14.8%P 낮아져 가장 큰 개선을 보였다. 다만, 현재 권역외상센터 개소를 준비하고 있는 서울권역은 2015년 30.8%에서 30.2%로 0.6%P 개선에 그쳤다.
조사연구 결과 중증외상환자의 권역외상센터로 신속한 이송 여부 등 크게 2가지 요소가 예방 가능한 외상 사망률과 긴밀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먼저 다른 병원을 거치지 않고 권역외상센터에 직접 찾아간 경우 사망률은 15.5%로, 다른 병원을 한 번 거쳐서 도착했을 때(31.1%), 두 번 이상 다른 병원을 거쳤을 때(40.0%)보다 현저히 낮았다. 이송 수단에 따라서는 119구급차로 내원한 경우의 15.6%로 다른 이송 수단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았다. 이런 조사 결과는 중증외상환자의 경우 119구급차로 신속하게 이송해 해당 지역 권역외상센터에서 치료받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복지부는 설명했다.
예방 가능한 외상 사망률이 획기적으로 개선된 배경은 중증외상환자 치료에 특화된 권역외상센터 개소와 정부의 집중적인 지원으로 분석됐다. 2014년 3개 센터로 출발한 권역외상센터는 올해까지 총 14개가 문을 열었고, 3개 외상센터가 개소를 위해 준비 중이다. 의료 접근성이 높은 서울권역의 예방 가능한 외상 사망률 개선 정도가 낮은 이유 중 하나로도 권역외상센터의 부재가 지적된다.
윤태호 복지부 공공보건정책관은 “예방 가능한 외상 사망률이 크게 개선된 것은 무엇보다 권역외상센터 의료진을 비롯한 여러 응급의료 종사자들이 어려운 여건하에서도 환자 치료에 최선을 다해준 덕”이라며 “상대적으로 의료자원이 부족한 지역도 필요자원을 집중 지원·육성하고 지역 내 협력체계를 갖추면 양질의 의료기반 구축이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했으며, 서울시와 협력해 조속한 시일 내 서울지역 외상진료 기반도 확충해 나가겠다”고 밝혔다.